반응형

작년 초에...

 

 
 
 
어떤 사람이 블라인드에 위와 같은 글을 올리고...
 
그 글에 모 건설사 직원으로 인증한 사람이 아래와 같은 댓글을 달았는데...
 

 

오늘 아래와 같은 뉴스가 나왔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1091062.html

 



아.... 이거... 난감하네... 

 

한참 원자재 가격 올랐을때 비용 부담을 낮추는 활동(?)이 있다는 소문은 있었는데...

반응형
반응형

22년 연간 기준 매출액 순이익률 43%에 달하는 코엔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 회사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을 주 업으로 하고 있다.

 

22년 기준 매출액 903억, 영업이익 484억, ROE 24% 수준으로 매우 양호한 실적을 보이고 있고

시가총액은 3,600억원 대 이다.

 

다만, 폐기물 처리업이니 법인 기준 안정적인 수익 확보는 가능하지만

커다란 매출 상승의 꿈을 꾸기는 어려울 것 같다. 

 

아래는 주봉 차트이다.

18년도에 13,350원을 찍고 우하향 중이며 

 

현재의 경제 상황이나 차트의 방향, 해당 법인의 매출 성장 가능성에 대한 그림을 보았을때...

 

 

 

글쎄... 

 

그냥 이번에는 한번 알아본 것으로 만족하련다.

반응형
반응형

화를 다스리는 아주 간단한 방법

- 내 감정을 스스로 돌아보고 지속적으로 그 객관적인 원인을 생각해 본다.

 

위의 간단한 문장을 단계적으로 풀어 쓴다면...

 1. 감정에 대한 경계선을 만들어 둔다
    (슬기롭게 화를 내는 방법을 고민해 둔다)

 2. 화가 날 때 그 장소에서 물리적/심리적으로 일단 도망가는 것 or 멀어지는 것
    (물리적으로는 걷기가 상당히 도움 된다고 한다.
     심리적으로는 지속적으로 객관화하는 것)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가끔 화!!! 가 날 때가 있다.

그리고 사회 생활을 하지 않고 혼자 고립되어 살아도 가끔 화!! 가 날 때가 있다.

 

전자의 화는 보통 타인에 대한 '화'라고 한다면

후자의 화는 자기 자신에 대한 '화'가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김경일 교수님의 슬기롭게 화내는 방법...

한참을 시청하다가 내린 결론이 이 글의 맨 위에 있다.

 

 

 

 

이 '화' 라는 것은 감정의 상태인데, 이를 억제하려고 의지를 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면 의지와 감정의 차이는 무엇일까?

 

 

 

김경일 교수님의 설명에 따르면

의지는 지갑에 있는 돈처럼 총량(Total Amount)이 정해져 사용하면 점점 줄어드는 것이고


감정은 스노우 볼처럼 한 방향으로 굴리면 

계속 그 크기가 커지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정을 컨트롤 하려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잘 생각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 유튜브를 보다가 아래와 같은 흥미있는 내용 글귀가 보여서
해당 내용의 동영상을 쭈욱 보게 되었는데 나름 배운 점이 있어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음... 근데 강의하시는 교수님을 보니 김경일 교수님이시네...
참고로 김경일 교수님은 어쩌다 어른 등 TV 프로그램에 나오시다가 
이제는 여기저기 강의에 많이 다시는 분으로 
나같은 일반인도 아는 꽤 인지도 있는 교수님이다.
 

아무튼... 위 동영상에서 김경일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상사 앞에서 기죽지 않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마주쳤을 때 내가 기가 죽는 그런 상사를 만나기 전 
위 그림에 있는 고 권력(High Power) 몸짓을 10분 정도 취한 후에 
상사를 만나러 가라는 것!
(근데, 약 1~2분 정도 밖에 효과가 없다고 한다. 
  그래도 일단 정신 차릴 시간을 버는게 어디인가?)
 
그 이유는 인간의 심리상 직전 경험에 쉽게 영향을 받고,
또 물리적인 상태가 심리 상태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추가하자면, 물리적인 상태에 따라 몸 호르몬에 영향을 준다는 내용)
(그리고 직전 상태의 호르몬이나 심리상태가 상황이 바뀌어도
 몇 분 정도는 영향을 준다는 것)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맥킨지 7S 모델의 경우 Hard 3S, Soft 4S 로 구성된다.

Hard 3 요소

Strategy - 전략 - 회사가 비전을 달성하는 방법, 환경의 기회와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

Structure - 구조 - 회사가 구성되는 방식, 전략 실행을 지원하는 조직구조

Systems - 시스템 - 직원이 수행하는 공식적/비공식적 활동 및 프로세스로 전략 실행을 지원하는 계획, 통제 및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

 

Soft 4 요소

Style - 스타일 - 회사 리더의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은 전략 실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

Staff - 직원 - 조직 구성원과 그들이 가진 역량은 성공의 핵심요소임

Skill - 기술 - 구성원이 가진 기술과 능력, R&D 역량 기반 미래 기술 개발 및 지식확장

Value - 가치 - 회사 Mission 에 포함되어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임

 

반응형
반응형

가계, 기업, 정부 - 경제의 3요소이다.

이 중 가계의 소득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노동 소득이다.

 

문제는 이 노동 소득의 전성기가 바로 42세 때이고 

61세가 되면 적자 인생으로 전환된다는 것,

 

심지어 국민연금도 65세부터 지급인데...

반응형

'Insight Of Life > 생활 정보 및 상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 체력의 중요성  (0) 2023.01.12
스타벅스 경동 1960  (0) 2022.12.29
자주 틀리는 맞춤법 관련 참고  (0) 2022.11.09
평어사용 클래스 - 경희대  (0) 2022.10.18
문경 석탄박물관  (0) 2022.09.27
반응형


언어 맞춤법은 사회적 약속으로
나와 해당 사회 외부의 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온라인에서 흔히 틀리는 맞춤법 내용과
이를 정정하는 내용을 업로드 하니
참고하여 원활하고 긴밀한 소통이 될 수 있게하면
좋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