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컨드 브레인에 기억하는 것을 집중 시키는 대신에 우리의 두뇌는 다양한 정보를 종합/융합하여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컨드 브레인은 CODE 법칙을 따르게 되는데,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1. C (Capture, 수집) -필요한 내용을 수집하는 것으로 외부/내부 지식과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것이다. 아는 내용은 핵심만 메모하고 놀랄만한 사실은 수집하는 컨셉으로 간다.
2. O (Organize, 정리) -지금 추진 중인 목표와 관계가 있는지 감안하여 정리하고 정리할 때는 PARA 를 고려하여 진행한다.
3. D (Distill, 추출) -수집한 정보는 활용해야 할 때 쉽고 빠르게 확인 가능하도록 핵심적인 내용에 하이라이트를 한다. 이 때, 해쉬태그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
4. E (Express, 표현) -유용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이러한 메모/기록 등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것 (예를 들면 지금 이 블로그 처럼)
근데, 위에 PARA 라는 내용이 언급되었는데… PARA는… 아래와 같은 단위 폴더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1. P (Project, 프로젝트) -현재 진행 중으로 단기간 내 끝내야하는 목표가 있는 내용
2. A (Areas, 영역) - 매출 진척도 같이 뭔가 끝맺음이 없이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업무
3. R (Resource, 자원) - 향후 참고하고 싶은 자료 들
4. A (Archives, 보관) - 완료한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현재 비활성화 된 내용들을 모아놓는 곳
The concept of a "second brain" refers to the practice of capturing and preserving valuable information by taking notes or recording it. This information is then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stored, enabling effective utilization when needed.
Certainly, a second brain can take the form of physical notebooks or diaries, mobile memo apps, or journal apps—whatever allows the storage of essential memories for later utilization. The concept involves capturing and storing necessary information, then effectively using it when needed.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memorizing within this second brain, our brains are encouraged to creatively integrate and synthesiz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This second brain follows the CODE law, summarized as follows:
C (Capture) - Collecting relevant content involves organizing external/internal knowledge and ideas. The concept encourages summarizing essential points and collecting surprising facts.
O (Organize) - When organizing, consider the current goals and relationships. Organize according to PARA, a system based on Projects, Areas, Resources, and Archives.
D (Distill) - To make collected information quickly and easily accessible when needed, highlight the crucial points. Using hashtags can also be an effective method.
E (Express) - Expressing useful information and sharing notes or records with others can lead to the derivation of new ideas (such as in a blog, like this one).
The PARA system mentioned earlier involves categorizing content into four distinct folders:
P (Project) - Content related to ongoing projects with short-term goals.
A (Areas) - Continuous management tasks, such as progress tracking.
R (Resources) - Materials for future reference.
A (Archives) - Completed projects and currently inactive content are stored here.
중독이라는 단어는 크게 두가지로 쓰이는데, 하나는 Poisoning이라고 분류되는 신체적 중독이고
다른 하나는 Addiction으로 불리는 정신적/의존적 중독이다.
이 중 오늘 다루고자 하는 중독은 의존적 중독, 즉 탐닉에 대한 것인데
그 이유는 살면서 누구나 조금씩은 어느정도 중독이 되어있기 때문이고
이 중독은 뇌의 신경작용이 어느정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스스로의 인지를 가지고 중독의 단계나 시간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그 중 아래는 아주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행위 중독의 6가지 요소이니 참고토록 하자
1. 목표 중독 - 손에 잡힐 듯 말 듯한 목표 (조금만 더하면 오늘 칼로리 달성 가능 !!!)
2. 피드백 중독 - 예측 불가능한 긍정적인 피드백 (이걸 올리면 좋아요를 받을 수 있겠지?)
3. 향상 중독 - 조금씩 향상되고 있다는 느낌 (디아블로나 WoW 레벨 쭉쭉 올려보자고~)
4. 관계 중독 - 강한 유대관계 (리니지 공성전이나 GTA Heist 미션을 생각해보자)
5. 미결 중독 - 해소하고 싶지만 풀리지 않는 미결상태 (미드는 완결 후 몰아봐야 맛이지)
6. 난이도 중독 - 시간이 지날수록 어려워지는 과제 (블러드본의 유다희를 아는 사람이라면 끄덕)
The term "addiction" is commonly categorized into two main types: one being physical dependence, classified as "Poisoning," and the other referred to as mental or dependence addiction, labeled as "Addiction."
The addiction under consideration today is specifically related to dependence, more precisely, an inclination towards indulgenc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o some extent, virtually everyone experiences a degree of addiction during their lifetime.
Given that this form of addiction is governed by certain mechanisms within the neural functions of the brain, proactive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cultivate self-awareness. This self-awareness serves the purpose of minimizing the stages or duration of addiction.
The following delineates six prevalent elements of behavioral addiction for your reference:
Goal-Oriented Addiction
Pursuit of tangible or intangible objectives (Achieving today's calorie target is just a slight effort away!)
Feedback Addiction
Anticipation of unpredictable positive feedback (Posting this might garner a favorable response, wouldn't it?)
Progression Addiction
Perception of gradual improvement (Let's systematically advance levels in Diablo or WoW~)
Relationship Addiction
Establishment of robust interpersonal bonds (Contemplate Lineage siege battles or GTA Heist missions)
Unresolved Addiction
Desire for resolution in the face of persistent unresolved states (Completing a TV series in one go provides the most satisfaction)
Difficulty Addiction
Escalation of complexity over time in undertaken tasks (If you're acquainted with You Die from Bloodborn, you'd likely conc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