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전, 그러니까... 2015년 정도?

인상깊게 읽었던 책 중에 대망이라는 소설이 있다.

 

아래와 같은 표지를 한 일본 소설인데,

 

 

지금 나이가 약간 있는 친구들이라면 이미 잘 알고 있을

'신장의 야망'이라는 게임을 통해서 흔히 알고 있을 '직전신장 - 오다 노부나가' 부터

 

 

임진왜란으로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알고 있는 '풍신수길 - 도요토미 히데요시'

 

 

 

그리고 에도 시대를 열어 실질적인 일본의 번영을 이끄는 기반을 만든 '덕천가강 -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 세사람이 지나갔던 길에서 볼 수 있었던 전국시대의 군상극을 30권이 넘는(판본마다 권수가 다르다) 책으로 엮어놨는데,

 

사람의 잔인함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사람들의 처신과 그 결과 그리고 그 상황에서 그룹을 이끄는 리더들의 모습을 통해 

 

사회 생활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리더십을 배울 수 있다.

 

특히 나는 셋사이 선사가 이에야스에게 했던 말 중에

아래의 문장이 가장 와 닿았는데...

 

"너는 대장이 되고 싶으냐, 부하가 되고 싶으냐?"

"부하는 마음이 편하다. 목숨도 입도 주인에게 맡기면 된다."

"그러나 대장은 그럴 수 없다. 무술 연마는 물론 학문을 닦아야 하고

 예의도 지켜야 된다. 좋은 부하를 가지려면 내 식사를 줄이더라도 부하를 굶주리게 해서는 안된다."

 

"맛있는 것을 먹지 않으면 살이 찌지 않는다고 생각하겠지만, 

 그것은 부하나 생각하는 일, 대장은 아지랑이를 먹고도 통통하게 살찌고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도 얼굴은 싱글벙글 웃고 있어야 한다."

 

------

 

"부하란 녹으로 붙들어도 안되고, 가까이 해서도 안되며, 화나게 해서도 안되고,

 방심시켜서도 안된다."

"부하란 대장의 인품에 반하게 하지 않으면 안돼."

 

"다른 말로 심복이라고도 하는데, 심복이란 사리를 초월한 데서 생겨난다. 

 감탄시키고 감탄시킴으로써 좋아서 어쩔 줄 모르게 만들어가는 거야"

"체력도 가신보다 더하고, 생각하는 바도 가신을 넘어서야

 겨우 가신들이 너에게 반하고 존경하며 떠나지 않지"

 

나는 과연 충분한 인품을 지녔고사람들이 나에게 반하고 존경하며 떠나지 않는 상태일까?

 

스스로를 반성해 본다.

 

 

아주 오래전에 어디선가 읽고 정리했던 내용인데

요새처럼 실행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때 한번씩 되돌아 봐야 할 것 같아서 여기에 다시한번 정리한다. 

 

1. 지금 한다.

무슨 일이든 생각 나는 시점에 미루지 않고 바로 해야 한다.

그래야 해놓은 것을 다시보며 수정할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생각 즉시 행동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2. 빨리 일하는 뇌를 만들자.

시간 제약 때문에 스트레스(긴장감)가 올라가는 효과가 생긴다.

시간 제약을 걸어놓으면 더 일에 집중하게 된다.

 

3. 완벽함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우선 무언가 시작을 해놓아야 그 다음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완벽함은 지속적으로 보고 다듬음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우선은 1차로 만들고 피드백 받는 것을 목표로 해보자.

 

4. 우선 순위가 중요하지만 의뢰 순서 또한 중요하다.

우선 순위 생각할 시간에 그냥 일을 하는 것도 방법이다.

 

5. 생각하지 말고 일단 한다. 

그냥 하라니까..

 

6. 하기 싫은 일은 먼저한다.

우선 순위를 따지다 보면 하기 싫은 일이 생기는데

이런 경우 이걸 먼저해야 다음 진도가 빨리 나갈 수 있는 경우도 있다.

 

7. 양질 전환의 법칙을 기억하라.

양이 늘어나면 어느 티핑 포인트를 지나며 질로 승화된다.

일단 많이 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8. 잘 모르겠으면 도움을 구하라.

혼자서 낑낑대며 진도를 안나가면 일의 성과는 없고 스트레스는 쌓이고.. 

일의 효율이 매우 낮아진다. 

차라리 잘하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일단 궤도에 오르는 것이 중요하다.

 

9. 행동의 힘을 생각하라.

Plan Do See 에 입각해서 생각해보라.

 

10. 좋은 아이디어인지는 실행해봐야 알 수 있다.

항상 그럴듯한 계획이 있다. 한대 맞기 전까지는...

 

11. 업무 준비는 업무 시작 전에 해라.

준비는 시작 전에 하는 것이다. 

 

12. 손으로 쓰는 수첩이 스마트폰 앱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13. 쌓여있는 서류는 일단 버린다.

버린다는 원칙을 가지고 매일 또는 매주 검토한다.

 

14. 일상적인 일은 패턴화 하여 단순화 하여라.

머리를 사용하지 않고 하는 일에 대해서... 

 

15. 몰입 시간을 만들어라.

 

16. 일의 리스트를 만들고 업데이트해라.

 

17. 생각 난 즉시 메모하라.

메모하고 다시 보고 또 보고 그러다 보면 기억한다.

 

18. 좋은 것은 따라한다.

잘하는 사람이 만들어 놓은 좋은 것을 따라하면 그래도 반이라도 따라가지 않겠는가?

 

19. 계획은 항상 완벽하지 않다.

완벽한 계획을 세우려고 너무 많은 시간을 사용하거나

계획대로 안된다고 스트레스 받지 말자

어느 수준에 올라오면 일단 실행하고 다시 고치자.

 

 

 

 

인생을 성공(?) 하기 위해서 많은 것을 해야하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이번에는 하지 말아야 할 것.

즉, 단절해야 할 것에 대해 좋은 이야기를 발견하여 내 스스로 기억코자 이를 정리코자 한다.

 

1. 불필요한 인간관계

- 다리가 떨리게 하고 밥맛이 떨어지게 하는 사람은 함께 할 이유가 없다.

 

2. 고정관념과 통념

- 꼰대란... 입력은 죽어있고 출력만 살아있는 사람 (그러니까 계속 뭐가 맞네 어쩌네 하면서 말만...)

- 통념을 없애려면 경험을 업데이트 해야 함 

   (과거의 성공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려는 성향이 있으니..)

- 수주대토(농부 옆에 토끼가 와서 그냥 죽더라.. 이런 우연이 또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면 안되는데...
   어리석은 사람은 또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를...)

 

 

3. 자기 변명 

- 안되는 이유만 찾는 것은 전진을 못하게 하는... 자기합리화 하는 것들... 

- 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4. 걱정

- 걱정을 해서 해결될 문제가 4% 밖에 안된다.

- 나가서 정면으로 도전해 보면 별 것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런 4가지를 잘 끊기 위해 해야 할 2단계

 

1. 핵심가치 정하기

- 가치 판단의 기준 

- Chage it but do not change it (포르쉐의 슬로건)

- 열정  /  혁신  /  신뢰  /  도전

 

2. 그 우선 순위를 사용한 가지치기(선택)

- 나에게 기쁨을 주고 행복을 주고, 의미를 주는 것을 기준으로 할 것의 우선순위를 정하자

- 일의 본질을 물어보기 (업의 본질)

화를 다스리는 아주 간단한 방법

- 내 감정을 스스로 돌아보고 지속적으로 그 객관적인 원인을 생각해 본다.

 

위의 간단한 문장을 단계적으로 풀어 쓴다면...

 1. 감정에 대한 경계선을 만들어 둔다
    (슬기롭게 화를 내는 방법을 고민해 둔다)

 2. 화가 날 때 그 장소에서 물리적/심리적으로 일단 도망가는 것 or 멀어지는 것
    (물리적으로는 걷기가 상당히 도움 된다고 한다.
     심리적으로는 지속적으로 객관화하는 것)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가끔 화!!! 가 날 때가 있다.

그리고 사회 생활을 하지 않고 혼자 고립되어 살아도 가끔 화!! 가 날 때가 있다.

 

전자의 화는 보통 타인에 대한 '화'라고 한다면

후자의 화는 자기 자신에 대한 '화'가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김경일 교수님의 슬기롭게 화내는 방법...

한참을 시청하다가 내린 결론이 이 글의 맨 위에 있다.

 

 

 

 

이 '화' 라는 것은 감정의 상태인데, 이를 억제하려고 의지를 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면 의지와 감정의 차이는 무엇일까?

 

 

 

김경일 교수님의 설명에 따르면

의지는 지갑에 있는 돈처럼 총량(Total Amount)이 정해져 사용하면 점점 줄어드는 것이고


감정은 스노우 볼처럼 한 방향으로 굴리면 

계속 그 크기가 커지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정을 컨트롤 하려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잘 생각하면 된다.

 

 

 

 
 
 
 

얼마 전 유튜브를 보다가 아래와 같은 흥미있는 내용 글귀가 보여서
해당 내용의 동영상을 쭈욱 보게 되었는데 나름 배운 점이 있어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음... 근데 강의하시는 교수님을 보니 김경일 교수님이시네...
참고로 김경일 교수님은 어쩌다 어른 등 TV 프로그램에 나오시다가 
이제는 여기저기 강의에 많이 다시는 분으로 
나같은 일반인도 아는 꽤 인지도 있는 교수님이다.
 

아무튼... 위 동영상에서 김경일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상사 앞에서 기죽지 않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마주쳤을 때 내가 기가 죽는 그런 상사를 만나기 전 
위 그림에 있는 고 권력(High Power) 몸짓을 10분 정도 취한 후에 
상사를 만나러 가라는 것!
(근데, 약 1~2분 정도 밖에 효과가 없다고 한다. 
  그래도 일단 정신 차릴 시간을 버는게 어디인가?)
 
그 이유는 인간의 심리상 직전 경험에 쉽게 영향을 받고,
또 물리적인 상태가 심리 상태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추가하자면, 물리적인 상태에 따라 몸 호르몬에 영향을 준다는 내용)
(그리고 직전 상태의 호르몬이나 심리상태가 상황이 바뀌어도
 몇 분 정도는 영향을 준다는 것)
 




 





아주 오래전에 읽었는데

아직도 기억에 남는 경영 및 자기개발 관련 책 중

에너지버스라는 책이 있다.

 

 

이 책은 여러가지로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그 중 나에게 나름 강한 영향을 줬던 내용을 언급 하자면

아래 노란색을 칠한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적절한 사람들을 버스에 태우라는 내용인데...

이는 팀을 맡아서 운영하는 팀장의 입장에서는 늘 고민하게 되는 주제인 것 같다.

 

평소 이런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와중에 아래와 같은 HBR 글을 봤다.

 

 

 

참고로...

HBR은 Harvard Business Reiview(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약자로

그 유명한 하버드 대학교의 자회사인 하버드 비즈니스 퍼빌리싱(Harvard Business Publishing)이라는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잡지이다.

 

뭐, 학회지나 논문집 이런건 아니고 그냥 경영잡지라고 보면 되는데

나름 많은 대학교나 MBA에서 참고하는 퀄리티 있는 경영잡지라고..

 

아무튼, 위 내용은 2018년에 기고된 내용인데,

한 명의 나쁜 직원이 어떻게 전체 팀을 망가뜨리는가에 대한 내용으로...

 

한마디로... 한 명의 나쁜넘이 전체의 조직문화를 망가뜨린다는 상식을

뭔가 통계적으로 보여주고

 

(아래 내용을 보면 나쁜 넘 하나가 조직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멀티플 계수가 1.59라고...

 나쁜 넘이 하는 위법/일탈 행위가 한 번일 때 조직에는 한 번외에
 + 0.59번의 추가 위법/일탈 행위가 발생한다는 의미)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Informal 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한다는 매우 상식적인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Social Interaction ? 그러니까 정상적인 리더들이 구성원들과 회식을 많이 하라는 의미인가? ㅎㅎㅎ)

 

 

결국 문제 있는 구성원의 Out과 훌륭한 구성원의 In을 반복하며

지속적인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중간의 구성원들이 훌륭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그것이 리더가 해야할 일이 아닌가 싶다.

파트장이거나 팀장이거나 아니면 임원급의 경영진이거나

 

어떤 조직의 리더라면 자신의 구성원에게 특정한 역할과 성과를 기대하기 마련인데

 

그 역할과 성과에서 가끔은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이때 리더는 어떻게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적절한 것일까?

 

여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나와 있는데

나는 HBR(Harvard Business Review)의 아래 링크 아티클을 참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https://hbr.org/2015/05/why-compassion-is-a-better-managerial-tactic-than-toughness?utm_medium=social&utm_campaign=hbr&utm_source=facebook&tpcc=orgsocial_edit&fbclid=IwAR3gBSOKTQcwzfhsYDwHoiYuRKnrL4lcU4ummuaGcEaLQNXkehm-5ZS-HZc 

 

Why Compassion Is a Better Managerial Tactic than Toughness

How to respond when an employee messes up.

hbr.org

 

위 아티클의 내용은

 

The question is:  How should we react when an employee is not performing well or makes a mistake?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그 대답은 하급자의 실수에 대해 화를 내기 보다는 공감하며 대하라는 것이고,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측은한 마음(연민)을 가지고 - "공감하며" - 실수를 저지른 직원을 대한다면

    그 직원의 충성도와 신뢰가 증가한다.

2. 만약 공격적으로 직원과 실수에 대해 반응한다면

    그 직원은 실수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에 걱정하게 되고

    위험을 감수하며 창의성을 발휘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감하며 연민을 가지고 대하라는 것일까?

 

1. 해당 실수를 바라보는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다.

   한단계 물러서 관찰자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정서적으로 안정을 얻는데 유리하다

2. 그 직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왜 이런 실수를 했을까라는 측면에서 먼저 이해를 해본다.

3. 나름 정리가 되었다면 현재의 객관적인 상태를 정리하고 이를 명확하게 용서한다.

 

 

음....

 

이렇게 적고나니 말이 쉽지 이거 되게 어려운 것 아닌가?

 

그래서... 나는 구성원들의 실수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할 지를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아래 친구들의 실수를 인지하게 된다면,

실수에 대해서 비난하기 보다는 실수의 원인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공감해보자.

그리고 그들에게 어떻게하면 이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인지를 물어보고,

그에 대한 만족할만한 대답을 받았다면 앞으로 그렇게 하자고 이야기 하자.

 

만족할만한 대답을 못 얻었다면...

좀 더 시간을 주고 어떻게 하면 대답을 얻을 수 있는지 물어보고

그에 대한 응답을 지원해주자.

 

한 조직에서 리더가 된 사람은 반드시 느끼고 있어야 하는 키워드가 총 4개 있다.

 

1. 비전 공유 / 2. 변화 추진 / 3. 인재 육성 / 4. 가치 실천

 

 

첫째로...  비전 공유이다.

 

우리 조직은 어디로 갈 것인가?

그리고 그곳에 가면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를 구성원들의 마음 속에 심어줘야 한다.

 

 

마음 속에 심어준다는 것은 이해 시킨다 또는 납득 시킨다와는 결이 다른 이야기 이다.

 

 

그냥 마음에 남아 있도록 하여 무의식적으로 우리 조직의 비전은 여기이지~ 라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 남의 마음에 뭔가를 심기가 어렵다.

 

그래서 우선은 내 마음에 제대로 심어서 테스트를 해야 한다.

 

최소한 '나'라는 인간 마음에 그 이미지를 심을 수 있어야 남들에게 심을 수 있지 않겠는가?

 

그리고 그 이미지를 남의 마음에 심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과 정성을 들여야 한다.

 

 

 

우리 조직은 매출 100억원을 할 것이다도 비전이 될 수 있겠지만,

우리는 누구의 인정을 받을 것이다! 이런 것도 비전이 될 수 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비전만 제대로 심어지면 다른 부분이 좀 부족해도 구성원들이 알아서 잘 하는 경우도 많다.

 

 

 

 

두번째로... 변화 추진이다.

 

변화하지 않으면 죽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항상 세상은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를 이끌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f/up은 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회사 생활을 몇 년 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우리에게 매 년 할당되는 목표는 과거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렵고 크다는 것을..

 

그래서 과거의 방식을 답습하면 절대 새로운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에 하지 않았던 방식을 도입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고 실행하여 과거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 것이다.

 

이 변화 추진이 멈춘 조직은 드디며 쇠퇴의 길로 들어가게 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세번째는 인재 육성이다.

 

비전의 마인드 셋을 가지고 변화를 추진하면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역량이 강해진다.

그 인재들이 앞으로 새로운 길을 갈 수록 지속적으로 육성해 줘야 한다.

 

 

 

 

네번째 마지막은...

가치 실천이다.

 

 

높은 목표와 부족한 자원은 

우리를 정직하지 않은 선택을 강요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때 정직 등의 가치를 강조할 수 있다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