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 내용은 클리앙 팁과강좌 게시판의 글을 가져왔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8934597

 

맥 사파리에서 (복붙 불가 + 마우스 우클릭 불가) 풀기 : 클리앙

사파리에서 복붙이 안되는 특정 사이트의 경우 Safari > 설정 > 보안탭 > 웹 콘텐츠: □ JavaScript 활성화와 같이 언체크 과정을 통해 일반적으로 풀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복붙 불가 + 마우스 우클릭

www.clien.net

 

 

 

사파리에서 복붙이 안되는 특정 사이트의 경우

Safari > 설정 > 보안탭 > 웹 콘텐츠: □ JavaScript 활성화와 같이 

언체크 과정을 통해 일반적으로 풀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복붙 불가 + 마우스 우클릭 불가까지 걸린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 경우 확인해 보니 CSS 단에서 콘텐츠 선택 불가하도록 막아 놓은 것이더라요.

이것 역시 다음과 같이 해제할 수 있습니다.

 

원래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요소검사'를 통해 '웹개발 툴'로 접근할 수 있는데,

마우스 오른쪽 버튼 자체가 막혀 있으므로사파리 메뉴에서 직접 '요소검사'를 열어줘야 합니다.
방법은 살짝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알고 나면 간단합니다.

우선 안되는 핵심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복붙이 안되는 이유 >


CSS로 콘텐츠가 선택되지 못하도록 다음과 유사한 형태로 막혀있습니다. none 설정이 막힌 핵심 원인!

.disable-selection {
user-select: none;
}


네이버 실제 CSS는 위와 살짝 다릅니다.

* 요점은 user-select none; 로 되어 있는 것이 문제.
none; 이 아니라 auto; 로 바꿔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가 먼저 할 일은 CSS 키:값 중에서 user-select 키 항목만 찾으면 됩니다.

검색을 통해 user-select 를 찾은 후, 오른쪽 항목을 none; 에서 auto; 로 타이핑해서 바꿔면 되죠.

 

< 실제 절차 >


1. 개발자 메뉴 활성화: 메뉴 왼쪽 Safari > 설정을 선택하고 고급을 클릭한 다음, 

   ‘웹 개발자를 위한 기능 보기’ 활성화. (이미 켜져 있을 경우 2번부터 시작)

    https://support.apple.com/ko-kr/guide/safari/sfri20948/mac


2. 사파리 메뉴의 개발자용 > 웹 인스펙터 보기 클릭 또는 단축키 이용. ⌥ + ⌘ + i (커맨드+옵션+아이) 조합으로


3. 웹 인스펙터 툴이 열리면, 대부분 사파리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분할되어 열립니다.


4. 이후 과정은 아래 이미지를 참조하면서 같이 진행 하세요.

<위 이미지를 누르면 커집니다>


4-1. 사파리 인스펙터 툴 하단에서 user-select 검색 후 none; 를 auto; 로 수정.

    -webkit-user-select: auto;

       위와 같이 설정되어야 합니다.


4-2. 보안 탭의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해제.


4-3. 필요한 내용 복붙.


4-4. 보안탭 > 웹 콘텐츠: ☑ JavaScript 체크로 활성화 원상 복귀.



PS.
나중에 잊지 않도록 요소검사 검색 키워드인 user-select 를 어딘가에 잘 기록해 두면 될 것 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OpenAI사의 ChatGPT를 사용하려다 보니

아래와 같이 다양한 모델이 나오는데,

 

 

나같이 ChatGPT의 단순한 기능만 사용하며는 소프트 유저 입장에서는

뭔 말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간단히 찾아서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나중에 잊어버리면 다시 찾아보고자 한다. ㅜㅜ

 

특징 4o o1
모델 사용의 주요 목적 다목적 모델 (텍스트 생성, 번역, 요약 등) 복잡한 추론 및 특수 분야 영역에 사용
지원하는 포맷
(입력을 받는 포맷)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텍스트 전용
추론 수준 일반적인 수준 높은 논리적 추론 및 복잡한 문제 해결 가능
속도 상대적으로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연산 수준 상대적으로 낮은 연산 필요 더 많은 연산 필요
출시 시점 2024년 5월 2024년 9월

 

위와 같은 비교를 통해 보면 아무래도 새로 나온 모델이 더 정확하고 유용하지 않을까 싶어

 

내가 궁금한 것들은 o1을 통해서 물어보면 되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지원하는 포맷이 4o가 더 다양하다 보니 그때그때 모델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긴하다.

 

반응형
반응형

지금까지 본 모든 마이닝 프로그램, 그러니까 채굴 프로그램은 

 
윈도우 OS의 컴퓨터 보안 프로그램 (예를 들면 V3, 윈도우 디팬더 등) 기준에서는
 
아래와 같이 바이러스 또는 악성코드로 분류하는 것 같다.
 

 

그래서 마이닝 프로그램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을 꺼서 보안을 해제해야 하는데 방법은 아래와 같다.
 
(경고, 윈도우의 보안을 해제하는 것은 바이러스 및 악성 코드의 감염 확률을 높이므로
 본인 컴퓨터 내 민감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음)
 
1. 윈도우 키를 누르고 보안을 검색한다.
 

 

2.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메뉴에서 설정 관리에 들어간다.
 

 

 
 
3. 해당 설정에서 실시간 보호 기능을 끈다.
 
 

 

 
 
 
 
 

 

반응형
반응형

1. 맥과 윈도우를 집에서 동시에 사용하다 보니 하나의 키보드와 마우스로 2개의 컴퓨터를 동시에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2.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synergy라는 어플을 사용하거나 로지텍사의 flow 를 지원하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매하는 방법이 나오는데 이제 Synergy도 제대로 쓰려면 유료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3. 그래서 Barrier라는 어플을 찾아 github에 들어갔는데.. 얼라? 아래와 같이 나온다.

 

4. 

 

 

 

 

5. 음.. Barrier는 일단 건너뛰고 위에 나온대로 InputLeap Project를 설치하기로 했다.

 

6. 다운받아 설치하려고 보니 어? Barrier 그대로 인가?

 

7. 

 

8. 아무튼 InputLead 를 설치는 하였지만, 로컬 네트워크에서 서로의 컴퓨터를 인식하고 연결되지는 않았다. ㅜㅜ

 

9. 어.. 뭐지? 로그상에도 특별한 내용이 없어서 이슈를 찾을 수 없다.

 

10. 그 와중에... 어 내 키보드랑 마우스가 Logitech 인데? 그러면 나도 검색에서 나오는 Flow 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는 생각이 들어 Logitech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아래와 같은 설명이 나온다.

 

11. 

 

12. 그래서 Logitech 사이트에서 option+ 라는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회원가입하고 내 마우스도 등록했다.

 

14. 그런데, 아래와 같이 나오고 Flow 메뉴 따위는 보이지 않는다.

 

15. 

 

16. Flow를 지원하는 별도의 Logitech 기기가 있다더니 그게 이 말이었나?

 

17. 일단 안되는 것이니 포기하고...

 

18. 그래서 다시 돌고 돌아 예전의 강자였던 Synergy를 설치하기로 마음먹고 symless.com/synergy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려고 봤더니..

 

19. 

 

20. 헛 29딸라. 유료화 되었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무료로 일부 기능을 지원해주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설치하려면 key 값을 입력해야 하는 구조이다.

 

21. Synergy 무료 버전 없나? 하고 조금 검색해서 찾아보니... 이런 글이 나온다.

 

22. 

23. 간단히 말해서 Free 소프트웨어라는 말은 자유롭게(FREE) 수정 가능토록 프로그램의 코드(Code)가 공개되어 있다는 말이지 공짜(FREE)가 아니라는 말이다.

 

24. 

 

25. 그리고 아쉬우면 니가 직접 컴파일해서 사용하라는 말도 있다.

 

26. 그렇군... 그래서 더 검색을 해보니 아까 처음에 봤던 Barrier가 Synergy 소스코드를 이용해서 전문가들이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다시 Barrier를 깔아볼까?

 

27. 그래서 결국 Barrier를 깔았다.

 

28. 

 

29. 그리고 아래와 같이 잘 인식하며 하나의 키보드로 잘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30.   

 

3줄 요약

 

1. 같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키보드/마우스를 사용하여 여러 컴퓨터를 제어하려고 프로그램을 알아봤다.

2. Synergy라는 프로그램이 예전에 무료이고 가장 쓸만했는데, 이제 유료화 되었고 대안으로 Synergy의 소스코드를 이용한 Barrier와 InputLeap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고, 로지텍 Option+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3. 근데 로지텍 프로그램은 거기에 맞는 마우스를 구매해야 하고 InputLeap은 어떤 이유에선지 내 컴퓨터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다만 다행히도 Barrier는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응형
반응형

요새 AI가 언론에 많이 노출되면서 핫하다.

 

특히 Meta에서 Llama 모델을 개발하고 공개했다는 뉴스가 나온 후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AI를 구현할 수 있겠구나는 생각이 들기 시작해

 

여기에 대해 조금 검색해보니 Meta가 공개한 AI를 활용한 Ollama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고

이를 활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쉽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있다는 것을 알게되어

이를 활용하여 내 컴퓨터에 AI를 구축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Ollama는 Open Source Large Language Medel Meta AI) 

 

먼저, Ollama를 내 컴퓨터에 다운 받아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윈도우 / macOS 등에서 설치하기
    • Ollama GitHub 공식 페이지 접속 (https://github.com/ollama/ollama)
    • 처음에 뭔가 폴더 같은 내용이 나와도 당황하지 말고 아래로 스크롤 다운
    • 그러면 아래의 그림을 찾을 수 있는데, 거기서 자기 운영 체제에 맞춰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끝 

 

생각보다 설치하기 쉽다.

 

그리고 실행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되는데,

 

내가 사용하는 macOS 기준으로 먼저 이야기 하자면

 

아래와 같이 터미널로 접속해서 ollama를 치면 사용방법이 나오는데, 

 

예를 들면 ollama -h 는 ollama의 사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내용을 보겠다는 내용이고

 

ollama list 는 내가 현재 다운 받아놓은 LLM 모델 리스트를 보겠다는 내용이다.

 

 

 

자... 그럼 Ollama를 실행하는 법을 알았으니 진짜 실행할 LLM 모델을 다운받아야 하는데... 

 

LLM 모델을 다운받으려면 https://ollama.com/library 사이트로 가자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여기서 설명을 쭉 읽어보고 본인에게 맞는 모델을 다운받고 난 후 

 

모델을 다운 받아놓은 폴더에 들어가서 "ollama run 해당모델" 식으로 실행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시놀로지 포토를 잘 사용하고 있는데, 

 

핸드폰에서 백업하다가 갑자기 용량이 부족하다고 백업이 되지 않는다. ㅜㅜ

 

 

어! 분명히 시놀로지에 하드 용량 충분한데?

 

뭔가가 이상한데? 하면서 검색을 하다보니...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분들이 계신데

답글 등을 보아도 뭔가 답이 시원치 않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6443577

 

시놀로지 포토 용량부족 : 클리앙

안녕하세요 이번에 220j들인 초초초초초보입니다. 어제 셋팅하고 제일 처음으로 휴대폰 사진을 백업하고 있는대요 시놀로지에 포토모바일을 통해서 업로딩걸어놓고 자고 일어나니 볼륨에 용량

www.clien.net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8544436

 

최근 Photos Mobile 업데이트 하면서 백업의 무한 루프에 빠졌습니다 ㅠ : 클리앙

제목 그대로 최근 1/12일 경에 제 아이폰에 있는 Photos Mobile 앱 업데이트를 진행했는데, 기존에 백업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폰에 있는 사진을 다시 감지하고 백업을 진행하는 절차를 계속

www.clien.net

 

이런식으로 검색을하다가... 문득,,

시놀로지 말고 핸드폰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것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핸드폰 저장공간이 아직 30GB나 남았는데? 하면서... 혹시나 하여 용량 큰 동영상 몇개를 지우고 나니...

 

어? 다시 백업이 된다...

 

아~ 문제는 핸드폰에 저장공간이 충분치 않아서였구나....

 

 

그래서 내가 해결한 방법은 핸드폰 저장공간을 확보한다!! 이다.

 

(사실 맥북 같은 경우도 과거 타이거 시절 저장 공간이 매우 부족하면 부팅이 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지금은 그렇게 까지 하드를 다 써보지 않아서 모른다 ㅠㅠ)

 

반응형
반응형

코디 (Kodi) 가 갑자기 먹통이 되어 재설치를 하고 시놀로지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는데...

 

헉..... SMB 연결이 안된다... 그냥 unknown operation error 만 나오고...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내부 주소 192.168.xxx.xxx 를 입력할 때 포트번호 (일반적인 SMB 포트번호는 445임)를 붙여보라는 것이 있어서

 

그대로 해보니 연결된다.

 

혹시 나와 비슷한 증상을 겪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반응형
반응형

아래의 법문은 절이 생기기 전에 수행이 있었고

물리적인 교회가 생기기 전에 예수의 이름으로 모인 단체의 교회가 있었음을 이야기하며

진정한 발심없이 습관적으로 물리적인 장소에 다니는 것에 대해 경고하는 법문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법문은 비단 절이나 교회에 습관적으로 다니는 것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별생각 없이 다니는 직장, 학교, 동호회 등 모든 모임/단체에 해당 하기에...

참고할만 하여 여기에 붙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