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PTV는 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약자로 쉽게 말해 인터넷 기반의 TV방송이다.

(광의의 개념으로는 OTT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한국 법 체계에서는 별도로 보고 있다)

 

한국에서는 1위 사업자인 KT에서 서비스하는 올레 TV,

SK 그룹에서 서비스 하는 SKB(SK Broadband), 

LG 그룹에서 서비스 하는 U Plus TV 등 3개의 Major 회사 외

기타 지역 케이블 TV 회사에서 서비스하는 영역도 있다.

 

아무튼 이 IPTV를 보기 위해서는 Big 3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지역 케이블 TV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매월 정액을 지불하면 인터넷 신호를 TV 신호로 바꿔주는

TV 셋탑을 설치하여 TV에서 이를 시청하는 방식이다.

 

그렇다면...

인터넷 신호를 그대로 노트북이나 PC에서 받아보면 되는 것 아닌가?

셋탑이 하는 역할을 노트북이나 PC에 있는 프로그램에서 실행하면 되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에 IPTV를 컴퓨터로 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고

 

결국 아래와 같은 홈페이지 링크를 찾았다.

 

iptv.live/

 

Free IPTV M3U playlists, October 2020

IPTV.LIVE — service is the search playlists IPTV. Fresh playlists, many television channels, download for free.

iptv.live

 

이거 어마어마한 사이트이다.

 

사용법도 간단한데...

 

아래 그림과 같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원하는 채널리스트인 M3U 파일을 다운받아서 

다음팟플레이어 등으로 실행시켜주면 바로 볼 수 있다.

 

우선 사이트에 가입해서 로그인을 해야 리스트를 볼 수 있다고 나온다

 

로그인을 하고 Vier full playlist 를 클릭하면 리스트가 쭉 나오고

다운로드 표시가 있다. 이걸 클릭하자.

 

그럼 플레이리스트 포맷을 정해서 다운 받을 수 있는 창이 뜨는데

이때 M3U를 선택해서 다운 받자.

이제 다운 받은 M3U 파일을 팟플레이어로 실행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sk텔레콤의 LTE data 함께쓰기에 가입하여 노트북에서 Data 통신 즉 LTE를 사용하고 있는데

요금제에 따라서 함께쓰기 Data가 20GB 또는 40GB 정도 밖에 안되지만

아무튼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이번에 포스팅을 하게된 것은 윈도우 클린 설치하고 나니

갑자기 LTE가 되지 않아서 엄청난 검색과 몇일 간의 고민 그리고 

Try & Error 를 통해 해결했기 때문이다. -> 즉 다시 LTE가 잘된다는 뜻이다.

 

 

위와 같이 SKT(LTE)로 잘 인식하는데 연결 끊김 나오고

실제로 인터넷이 안되면... 완전 답답한 상황이 된다.

 

그래서 진행한 수많은 검색... 해외 포럼들도 뒤지고...

그러다가 발견한 검색 중에 아래 내용과 같이 fake 급의 말도 안되는 내용도 있어서...

이를 경계하라고 주의 주고 싶은 의미도 있다.

 

위 내용을 찾고서... 

내가 윈도우 10 버전 20H1으로 너무 최신을 한 번에 설치해서 

문제가 생긴 줄 알았다... --> 윈도우 구 버전을 다시 설치했었지만..

결론적으로 똑같은 증상이 계속되어 

위 내용은 LTE 연결 끊김과 아무런 관계없음을 확인했다.

 

아무튼 위와 같은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아래 그림과 같이 윈도우 셋팅에 들어가서 APN을 수정하는 것이다.

 

 

 

 

여기 블로그까지 찾아올 정도라면 위 그림 단계까지 들어가는 것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기에서 APN 연결을 추가해주고 

기본 연결 및 인터넷 연결에 lte-internet.sktelecom.com 을 넣어주면 된다.

 

기타 로그인 정보들은 불필요하다.

 

이렇게하면 한번에 해결된다.

 

 

 

 

 

 

 

반응형
반응형

코디(KODI) 란 비영리 기술 컨소시엄인 XBMC라는 곳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미디어 플레이어 응용 소프트 웨어로

이걸 사용하면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한 셋탑 박스 또는 스마트 TV 등을

한층 더 강화된 미디어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실 윈도우, Mac OS, 리눅스, 라즈베리 파이 등 대부분의 OS에서 사용가능 하나

 미박스, 쉴드 등 대다수의 TV Box가 안드로이드를 사용 하는 관계로 안드로이드 OS를 이야기 했다)

 

이 코디를 설치하면 OS 내부, 외장하드, NAS 등에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불러와서 활용할 수 있는데

적절한 ADD ON을 추가하면 한국의 대표적인 OTT인 웨이브 및 티빙을 

코디 안에서 불러 볼 수 있다.

 

사실 웨이브나 티빙 모두 별도의 어플이 존재하나 굳이 코디 안에서 애드온으로 실행하려는 니즈가 생기는 이유는...

웨이브나 티빙의 별도 어플이 미박스 등 일부 셋톱 박스 안드로이드 버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나도 이런 이유로 코디 내부에서 웨이브와 티빙을 실행하고 있다)

 

코디에서 웨이브, 코디 애드온을 설치하는 것이...

과거에는 별도의 검색을 통해서 누구 블로그, 어떤 사이트를 통해서 찾아 

소스코드 zip 파일을 다운 받아 USB 에 넣고 코디에서 실행하여 설치해야 했으나...

 

이젠 너무 간단해졌다.

코디에서 웨이브나 티빙 애드온을 설치하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코디 전용 저장소를 다운 받아 USB에 넣어 코디에서 실행해 주고

그 저장소 안에 있는 애드온을 찾아서 설치해주면 된다.

(웨이브, 티빙, 넷플릭스, 왓차)

 

github.com/kym1088/wavveM-v18

 

 

위에 본인의 코디 버전에 맞춰서 저장소를 다운 받고 

코디에서 실행하면 저장소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다.

 

 

위에서 Korea OTT Package for Kodi 18 에 들어가서 웨이브, 티빙, 넷플리스 애드온(Add On)을 설치해주면...

 

아래와 같이 애드온에 뜨는데 이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애드온이 정리된다.

 

 

그럼 각 애드온에 본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고 실행하면 완료!

(당연히 각 계정 별로 시청 권한이 있어야 함)

반응형
반응형

Mac OS를 사용할 때는 가정용 복합기 연결만 하면

알아서 스캔 메뉴가 직관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고민하지 않았다가

 

윈도우10에서 복합기를 연결한 후 스캐너를 사용하려니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어서 구글신에게 물었다.

 

그랬더니 너무 많은 정보가 나오는데, 

뭔가 복잡하고 불편하다.

(무슨 설정에 들어가서 무얼 클릭하고... 또는

 그림판을 이용하거나 아래와 같은 팩스 및 스캔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등등)

 

 

그래서 간단히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지 고민하다가

저렇게 설정에 들어가서 사용할 수 있다면

기본 어플로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냥 마소 스토어에서 스캔 어플을 찾아서 다운 받아 실행했다.

 

결론은,

그냥 잘 된다.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 타오나스(타오바오에서 구매한 헤놀로지 머신) 구매기를 간단히 작성했는데,

 

타오바오는 알겠는데 헤놀로지는 뭐지?

싶은 분들을 위해 작성한다.

(타오바오는 알리바바가 만든 중국 내 B2C 쇼핑몰이다. 

 참고로 알리바바는 글로벌 B2B 쇼핑몰이고 알리익스프레스는 글로벌 B2C 쇼핑몰이다)

 - 알리바바 한국어 사이트는 여기 korean.alibaba.com/

 - 알리익스프레스 한국어 사이트는 여기 www.aliexpress.com

 

위의 내용들은 시간될 때 한번씩 리뷰할 예정인데,

 

우선 간단하게 헤놀로지라는 것을 일반인의 언어로 설명하자면...

 

 

시놀로지(Synology, 브랜드/제품명/고유명사)라고 하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에 붙어있는 

저장 장치)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

(DSM - Disk Station Manager 라고 부른다)을 사용하려면 

시놀로지 하드웨어를 구입하는 방법 밖에 없었는데,

 

 

어떤 해커들이 이 프로그램을 해킹하여 시놀로지 하드웨어가 아닌 

일반 하드웨어에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 일반 하드웨어는 NAS가 기본적으로 갖춰야하는 사양을 충족해야 하는데

좀 자세히 이야기하면 아래의 리스트와 같다.

 

- 메인보드, CPU, RAM, HDD or SDD, 그래픽 카드, 이더넷 아답터, 

  (그래픽 카드나, 이더넷 어답터는 메인보드에 통합되서 나오니... 

   그냥 이걸 사용한다고 생각하자.)

 

 

이러한 요구 사양은 당연하게도 그동안 처치 곤란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기에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였다.

(심지어 NAS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i3 CPU 2세대, 4GB RAM 정도만 되어도 아주 충분하다)

(사실 셀러론 정도의 CPU도 충분하다. 그리고 시놀로지도 대부분 셀러론 급 CPU를 사용하고..)

 

 

이러한 시놀로지 프로그램에 대한 해킹은

과거 애플 컴퓨터의 MacOSX 시리즈의 해킹버전과 유사한 점이 많았는데

이 맥OS의 해킹 버전에 대해서 킨토시라고 불렀던 전례에 따라

시놀로지 프로그램의 해킹 버전을 헤놀로지로 부르게 되었다.

 

 

============

- 애플과 시놀로지는 비슷한 방식으로 하드웨어 제품을 판매한다.

--> 원래 애플 컴퓨터에만 MacOS 시리즈의 OS(운영체제)가 설치되는데

--> 애플 컴퓨터는 하드웨어만 판매하고 소프트웨어는 판매하지 않는다.

--> 따라서 MacOS 류의 OS를 사용하려면 애플 컴퓨터를 사야만 한다.

 

--> 그런데 2005년 경인가? 그 전인가? 

--> 해킨토시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 애플 컴퓨터가 아닌 일반 IBM 컴퓨터에서도

--> MacOS 시리즈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당연히 약관 위반이다. 그리고 헤놀로지도 약관 위반이다.)

 

--> 필자가 한참 애플의 매킨토시에 빠져있을 때 고성능의 매킨토시를 만들어보겠다고

      고성능 데스크탑에 해킨토시를 깔았는데...

      그때는 x86osx.com 사이트가 가장 활발한 커뮤니티였다.

      (이번에 찾아보니 사이트가 없어지고 다른 사이트들이 생긴 것 같다)

============

 

 

이 헤놀로지 프로그램/방식 등의 정확한 명칭은 XPEnology 이며

여기에 대한 공식 커뮤니티는 https://xpenology.com/forum/ 이다.

 

 

위 공식 포럼에 가면 다양한 소식을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접할 수 있고,

심지어 영어실력도 늘릴 수 있으니

관심있는 분은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러면 여기까지 일반인의 언어였고...

이제 좀 더 간단하게 나의 언어로 작성해보자.

 

 

1. 먼저 헤놀로지란 무엇인가?

    -  헤놀로지는 XPEnology에 대해 

       한국 네티즌들이 멋대로 붙인 이름이다.

       굳이 왜 이렇게 붙였는가에 대해서는 

       위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자.

 

 

2. 그러면 XPEnology란 무엇인가?

    -  XPEnology는 리눅스 기반 로더(Loader)를 수정하여

       시놀로지 부트 로더를 에뮬레이션 한 것이다.

       따라서 리눅스 로더가 작동하는 

       비-시놀로지 제품에서도 시놀로지의 

       DSM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3. 법적인 문제는 없는가?

    -  한국 법에 위배되는지에 대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다만, XPEnology 를 개발하는 사람들은 DSM이 

        오픈소스를 기반하여 만들어졌고

        XPEnology 역시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DSM이 가동되도록 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4. 시놀로지 정품에서 지원하는 퀵커넥트와 다른 시놀로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가?

    -  퀵커넥트와 다른 시놀로지 서비스들은 

        정품 시놀로지의 시리얼 번호와 맥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할 수 없다.

        (물론 시리얼 번호 등을 확인하지 않는 

         몇가지 서비스들은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

 

 

5. 모든 非-시놀로지 하드웨어에서 XPEnology를 사용할 수 있는가?

    -  그렇지 않다. 부트 로더 버전에 따라 

       지원하는 하드웨어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잘 살펴봐야 한다.

 

 

6. 타오 나스 란 부엇인가?

    -  타오바오(중국 최대 오픈마켓 쇼핑몰 / 

        당연히 한국에서 사려면 배송대행 서비스 등을 

        이용해야 한다)에서 

        몇몇 판매자가 판매하는 NAS Frame(메인보드, CPU, 

        RAM 및 2개 이상의 저장장치를 끼울 수 있는 Bay 등)을

        이야기하는데 이 Frame 가격이 개별 부품 가격보다도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어 몇몇 네티즌들이

        이를 구매하여 헤놀로지를 설치하면

        최고의 가성비가 난다고 주장하여 유명해졌다.

 

 

7. 타오 나스 를 구매하면 무엇을 해야하는가?

    -  만약 처음에 구매할 때 XPEnology가 깔려있는 

        버전을 구매했다면

        그냥 전원 연결하고 랜선을 꽂은 후 공유기에 접속하여 

        해당 IP를 찾아 웹 브라우져로 접속하면 된다.

 

 

8. 만약 타오 나스를 구매했는데 XPEnology가 깔려있지 

   않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  XPEnology를 해당 타오 나스에 깔아주면 된다.

    -  타오 나스에 XPEnology를 설치하는 방법은 구글 검색을 통해 해결하자!

      (너무 내용이 많아서...)

 

 

9. 기존에 XPEnology가 깔린 타오 나스를 샀는데 

    중국에서 설치된 상태로 온 거라 찝찝하여

    새로 깔고 싶거나 / 새로운 버전의 DSM을 사용하고 싶다.

    -  걍 깔끔하게 새로 까는 것이 좋은데.. 좀 귀찮을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중국에서 구글 접속이 안된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지메일 즉 구글메일을 주력으로 사용하다가 

갑자기 중국에서 몇일 또는 몇개월 살아야 한다고 해서 메일을 바꿀 수는 없는 노릇

또는 지메일 쓰려고 계속 VPN 사용하는 것도 무리...

 

하지만 항상 그렇듯, 

간단한 해결 방법이 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아웃룩 메일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주소는 http://www.outlook.com 또는 https://outlook.live.com 이 될 것이다.

 

윈도우 사용하는 분들이면 아마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하나씩은 있을 것인데,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아웃룩 사이트에 접속해서 설정에 들어간 후 

모든 outlook 설정 보기에 들어간 다음

메일 - 전자메일 동기화 - Gmail 추가를 선택하여 연동시키면 된다.

 

 

 

심지어 보내기 메일까지 연동할 수 있다.

(아웃룩에서 메일 보내기를 하면 내 구글 메일로 보낸 것처럼 보여진다.)

 

중단기 출장이나 체류시 잘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