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발... 아래와 같은 기사는 더이상 보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전부 이번 공무원들...(어느 부처라고 이야기 않겠다)이 만들어놓은 상황이다.

 

이번 정부의 최고 빌런은 과거 정부부터 뿌리를 박고 있는 소수의 공무원들이 아닐런지...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정말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도대체 몇몇 공무원님들 왜 그러는건가요?

 

사실 페이스 북에 있는 위의 최배근 교수의 글을 보고 좀 찾게되었다.

 

 

얼마나 성실하게 살았으면 원룸까지 정리해서 직원 월급 주며 버티고..

그래도 안되니까....

(근데, 위 기사를 보면 마치 거리두기 정책 때문에

 위와 같은 일이 벌어진 것으로 초점을 잡고 있는데... 아이구..... 역시 기XX인가? 이런...)

 

아무튼 중요한 것은,

현 정부의 감염병 대응 정책인 거리두기는 필요하다.

그런데, 그 정책에 따르다가

개인에게 피해가 발생하면 일단 피해를 구제해야 한다.

그래야지 일단 죽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만약 피해 대비 과도하게 지원이 되었다면...

나중에 정리해서 회수하면 될 일이다.

 

적어도, 당장 숨넘어가는 사람 1명을 구하기 위해서 

10명에게 동일하게 공짜밥을 줄 수 있는 것 아닌가?

 

일단 1명 구하고, 사실 지원이 필요없었던 9명에게는

나중에 세금을 더 받던지 하면 될 일 아닌가?

 

그런데, 지금 공무원들은 나라 빚이 늘어나면 안되니까

재난 지원금 등등을 선택적으로 고심해서 지급한다고 한다.

 

아이고... 진짜 대한민국이 빚이 과도한가?

아래를 보고 이야기 하자

 

 

OECD 사이트에서 금방 찾을 수 있는 정부 부채이다.

https://data.oecd.org/gga/general-government-debt.htm

 

General government - General government debt - OECD Data

Find, compare and share OECD data by indicator.

data.oecd.org

 

보니까, 일본 / 미국 / 포르투갈 / 이태리 / 스페인 / 영국 / 벨기에 / 캐나다 / 프랑스 

전부 정부 부채가 GDP 대비 100% 이상이다.

 

그러면, 대한민국은??

 

 

2012년 부터 엄청 늘어난 것 같지만....

대한민국 정부의 부채 비율은 겨우 42.6%이다.

 

 

링크는 아래에

https://tradingeconomics.com/south-korea/government-debt-to-gdp

 

South Korea Government Debt to GDP | 1990-2020 Data | 2021-2023 Forecast | Historical

South Korea recorded a government debt equivalent to 42.60 percent of the country's Gross Domestic Product in 2020. Government Debt to GDP in South Korea averaged 23.40 percent from 1990 until 2018, reaching an all time high of 39.90 percent in 2016 and a

tradingeconomics.com

 

다른 국가들은 100% 막 넘는데 왜 대한민국은 42.6%로 빌빌 대는데?

(만약 IMP 나 IB 와 약속한게 있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면... 

 진짜 빌런이다... 코로나와 같은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을 안하겠다는 이야기니까..)

 

특히 심각한 것은 대한민국의 GDP 대비 가계 대출 비율은 103.8%로 정부 대비 2.5배 수준이다.

(한국 개인들은 너무 취약한 상태라는 것이다)

 

 

 

https://tradingeconomics.com/south-korea/households-debt-to-gdp

 

South Korea Households Debt To GDP | 1962-2020 Data | 2021-2023 Forecast | Historical

Households Debt in South Korea increased to 103.80 percent of GDP in the fourth quarter of 2020 from 101.10 percent of GDP in the third quarter of 2020. Households Debt To GDP in South Korea averaged 41.41 percent of GDP from 1962 until 2020, reaching an a

tradingeconomics.com

 

아니, 일본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65.3% 밖에 안되고...

 

미국도 79.5%이다.

 

무슨 말이냐면....

경제의 3 주체인 가계 / 기업 / 정부 중에

 

미국, 일본 등은 가계 부채 비율이 60~70% 라면

한국은 가계 부채 비율이 100%를 넘기고 있고...

 

대신에 정부의 부채 비율이 미국, 일본은 100% 이상인데

한국 정부는 40% 수준이라는 이야기 이다.

 

정부와 가계만 놓고 보자면

가계가 당연히 약자인데... 이거 너무한거 아닌가?

 

미국이나 일본만 그렇다고?

그럼 우리나라와 GDP 사이즈가 비슷하고

인당 GDP 는 우리나라보다 약간 낮은 이탈리아를 보자..

 

심지어 여기는 44.9% 로... 40% 대 이다...

 

이거 한국 정부가 빚을 많이 지면 안되니까..

선택적으로 조금씩 지원하겠다는 아이디어를 내시는

공무원/정치인 분들...

제발 그러지 맙시다.

 

가계, 그러니까 사람이 죽어 나갑니다.

긴급한 상황에서 사람이 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좀 과도하다라고 생각이 될 정도로 지원을 해서 일단 살게 해주고...

그 다음을 생각합시다...

 

왜 인구가 줄겠어요?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 웹서핑을 하다가

대한민국 노동시간의 감소가 OECD 국가 중에 1위라는 내용을 봤다.

 

이게 무슨 말이지?

문재인 정권 들어선 다음에 이런저런 친노동 정책을 펴는가 싶더니

너무 노동자에게 친화적인 국가가 되버렸다는 것을 강조하는 글인가? 

싶어서 호기심에 알아보니...

 

아래와 같은 그래프 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아~ 09년대비 노동시간 감소한 폭이 가장 큰데...

 

어~ 아직도 이 표에서는 여전히 노동시간은 압도적 1등이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일한 시간 대비 GDP 사이즈 단위는(GDP per hour worked)

이탈리아, 스페인 심지어 일본보다 밀리는구나...(아... 일본에게 밀리면 안되는데..)

(근데, 일한 시간이 줄어서 단위 GDP가 증가한건가? 아니면 GDP 총액이 늘어서 단위 GDP가 증가한건가?)

 

아무튼, 한국 GDP 사이즈가 이제 전 세계에서 10위를 왔다갔다 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나라에 밀리는 것은 단순히 노동시간이 많아서인데...

 

과연 우리 대한민국 노동시간이 글로벌 압도적 1위가 맞나? OECD 국가 비교에서 찾아봤다.

 

이 사이트를 참고 https://data.oecd.org/emp/hours-worked.htm

 

Employment - Hours worked - OECD Data

Find, compare and share OECD data by indicator.

data.oecd.org

 

 

그리고... 최신의 관련 기사를 찾을 수 있었는데,

 

표에는 한국이 킹왕짱으로 일하는 시간이 많다고 나와서

한국이 전세계 1등인가? 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겠지만,

 

위에 기사를 보면 한국은 글로벌 2등이에요 / 니들은 1등이 아니에요.

이런 내용이 있어 읽어보니

 

OECD 국가 중에서

노동시간 1등은 멕시코라고 한다.

근데, 1등과 큰 차이 없는 2등!! 대한민국

여전히 한국이 많이 일하긴 한다.

 

해외 살다가 한국에 와서 가장 놀란게 주 52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할 수 없다는 내용이라..

이 노동시간 감소 때문에 한국의 경제 상황이 안좋아질 것이라는

언론사 등 찌라시 덕분에 걱정을 했는데...

 

단위 GDP는 늘어나고 있으니

서비스업이 발달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 같고

새로운 산업이 발달하는 기폭제가 되어

이거 오히려 좋아지고 있는 것 아닌가 싶다.

반응형
반응형

정현석 변호사님이 작성한 글인데

 

이혼에 대해 한 번이라도 생각해 보신 분이라면

 

아래 글을 일독하기를 권합니다.

 

 

https://brunch.co.kr/@resonancelaw/108#comment

 

사랑은 민물장어처럼

이혼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드리는 작은 조언 | 내가 주로 취급하는 분야는 의료분야(의료분쟁, 의료법 자문 등)이지만 의료분야 업무를 처리하다보면 매년 2~3건의 이혼 사건 의뢰를 받게된다.

brunch.co.kr

 

만약 읽을 만한 충분한 시간이 없다면 아래의 간단한 요약을 참고하세요.

 

1. 부부 관계에서 이혼을 통해 상대방을 응징하는 방법은 없다.

2. 이혼 후의 삶에 대해서 낙관하면 안된다. 쉽게 이혼을 결정해서는 안된다.

3. 혼인 관계가 본인의 자의식을 파괴하거나 신체/생명의 위협을 가하는 경우는 이혼이 필요하다.

4. 이혼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서 어린 자녀에 대한 고민으로 이혼을 하지 않는 것은 적절치 않다.

   

반응형
반응형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 공급된 유동성이

화폐의 가치를 하락 시키며 

화폐로 표시되는 자산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자산인 부동산은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큰 폭으로 가치가 상승했는데...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베이징 지역의 중심지는 이미 뉴욕 / 런던 / 파리 수준이다.

평균 소득은 미국 / 영국 / 프랑스 보다 낮지만

자산 가치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중국의 대도시의 주택 자산 가치는 왜 이렇게 높은 것일까?

 

몇가지의 원인이 있겠으나... 간단히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1. 그곳에 양질의 일자리가 있다.

2. 우수한 학군과 의료 인프라가 있다.

3. 그곳의 자산 가치가 더 상승할 것 같다. (투자가치가 있다)

4. 유동성 증가로 투자가치가 있는 곳으로 돈이 쏠리는 현상이 강하다.

5. 주택 공급이 제한되어 있다.

 

위의 내용을 추가로 요약하자면

1. 본질적 가치 / 2. 투기적 가치 

이렇게 2가지로 정리되는데...

 

보면 알겠지만... 

한국이든 중국이든 집 값 올라가는 건 

비슷한 이유에서 올라간다.

 

 

 

반응형
반응형

이미 이슈화가 여러번 된 내용이라서 

대부분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여 참고하시라고 올린다.

 

대부분의 아파트가

벽식 구조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윗층에서 바닥 진동을 일으키면 벽을 타고 

내려가게 되서 아래층에 영향을 준다.

 

다만, 상당수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

기둥식 구조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층간 소음이 덜하게 된다.

 

근데, 일반 아파트가 벽식 구조로 만들어진 이유는?

간단하다... 더 많은 세대를 넣어서

건설업체 입장에서 원가를 절감하고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형
반응형

해외 은행으로 송금하거나

해외에서 국내 은행으로 송금을 받아본 사람이라면

SWIFT 코드라는 것을 들어 봤을 것이다.

 

예를 들면 국민은행의 SWIFT 코드는 CZNBKRSEXXX 이런 식이다.

 

(아래와 같이 국민은행 사이트에서도 해외에 있는 송금인에게 알려줘야 할 내용 중에

  SWIFT CODE 를 포함하고 있다)

 

 

 

이 SWIFT 코드는 국제은행 간 통신협회라는 곳에서 발급하는 코드로써

 

이 코드가 없는 금융기관은 SWIFT 망을 사용하는 국제 금융거래가 어렵다고 할 정도로

국제 금융거래를 위해서는 SWIFT 가 필수적인데 

(이미 많은 중국 내 은행들이 SWIFT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번에 중국인민은행과 SWIFT 가 JV를 설립하여 

중국 내 금융기관 등에서 안정적으로 SWIFT 를 사용토록 하겠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 SWIFT 가 새로 생긴 것이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기본적으로 중국 정부 기관인 중국인민은행이 SWIFT 와 JV를 만들었다는 것은

중국 금융기관이 SWIFT 망을 사용하여 해외 금융기관과 거래하는 내용을 꼼꼼이 들여다 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다시 말해, 기존에 중국은 CIPS (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 라는 것을 사용했는데,

(CIPS는 2015년 10월에 중국 정부가 SWIFT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만들어낸 독자적인 위안화 결제 시스템이다)

 

실제로 국제 거래되는 모습을 보니 CIPS 보다 SWIFT 를 많이 쓰고 있고

그래서 SWIFT 망을 이용하는 거래의 내용을 파악하여

필요에 따라 제재를 하거나 하는 등 활용하고자 하는 저의가 깔리지 않았나 싶다.

(어디까지나 내 개인의 생각이다)

 

반응형
반응형

한 조직에서 리더가 된 사람은 반드시 느끼고 있어야 하는 키워드가 총 4개 있다.

 

1. 비전 공유 / 2. 변화 추진 / 3. 인재 육성 / 4. 가치 실천

 

 

첫째로...  비전 공유이다.

 

우리 조직은 어디로 갈 것인가?

그리고 그곳에 가면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를 구성원들의 마음 속에 심어줘야 한다.

 

 

마음 속에 심어준다는 것은 이해 시킨다 또는 납득 시킨다와는 결이 다른 이야기 이다.

 

 

그냥 마음에 남아 있도록 하여 무의식적으로 우리 조직의 비전은 여기이지~ 라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 남의 마음에 뭔가를 심기가 어렵다.

 

그래서 우선은 내 마음에 제대로 심어서 테스트를 해야 한다.

 

최소한 '나'라는 인간 마음에 그 이미지를 심을 수 있어야 남들에게 심을 수 있지 않겠는가?

 

그리고 그 이미지를 남의 마음에 심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과 정성을 들여야 한다.

 

 

 

우리 조직은 매출 100억원을 할 것이다도 비전이 될 수 있겠지만,

우리는 누구의 인정을 받을 것이다! 이런 것도 비전이 될 수 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비전만 제대로 심어지면 다른 부분이 좀 부족해도 구성원들이 알아서 잘 하는 경우도 많다.

 

 

 

 

두번째로... 변화 추진이다.

 

변화하지 않으면 죽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항상 세상은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를 이끌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f/up은 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회사 생활을 몇 년 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우리에게 매 년 할당되는 목표는 과거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렵고 크다는 것을..

 

그래서 과거의 방식을 답습하면 절대 새로운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에 하지 않았던 방식을 도입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고 실행하여 과거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 것이다.

 

이 변화 추진이 멈춘 조직은 드디며 쇠퇴의 길로 들어가게 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세번째는 인재 육성이다.

 

비전의 마인드 셋을 가지고 변화를 추진하면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역량이 강해진다.

그 인재들이 앞으로 새로운 길을 갈 수록 지속적으로 육성해 줘야 한다.

 

 

 

 

네번째 마지막은...

가치 실천이다.

 

 

높은 목표와 부족한 자원은 

우리를 정직하지 않은 선택을 강요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때 정직 등의 가치를 강조할 수 있다면...

 

 

 

 

 

 

 

 

 

 

 

 

 

 

반응형
반응형

 

2021년 3월 1일

 

오늘은 3.1절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오늘 같은 날은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도록

많은 고생을 하셨던 분들을 기리면서 하루를 보내는 것은 어떨까?

 

특히 3.1절 하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유관순 열사를 빼놓을 수 없는데,

한 한국인협회가 독일의 한 AI 업체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유관순 열사의 사진을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재현한 결과물을 내놓았다고 한다.

 

 

 

실제로 이 사이트에 가보니 과거의 사진을 기반으로

해리포터 영화에서 나올 법한 움직이는 사진으로 바꿀 수 있었는데....

 

www.myheritage.co.kr/deep-nostalgia

 

MyHeritage Deep Nostalgia™, deep learning technology to animate the faces in still family photos - MyHeritage

 

www.myheritage.co.kr

 

 

 

유관순 열사에 대한 움직이는 사진 결과물은 아래와 같았다.

 

 

 

 

그리고... 모진 고문에 부은 얼굴을 보정한 사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