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떤 주제를 가지고 설명하는 자료를 만들어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PPT를 활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당연하게, 그 설명자료는 적어도 보는 사람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준으로 이쁘게 만들어야 하는데 

 

문제는 그렇게 이쁘게 만드려면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

 

이런 문제에 있어 AI를 활용하여 내 부담을 줄여볼 수도 있을 것 같아 여기에 소개해 본다.

 

 

 

 

 

먼저 해당 AI 툴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다운로드 등은 필요없고,

대신에 인터넷 연결이 필수인데...  Gamma 의 웹페이지 주소는 아래와 같다.

 

https://gamma.app/?lng=ko

 

뭐,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알 수 있듯 구독료 결제를 유도하는데... 

무료 계정으로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아래와 같이 제한사항을 걸어두기 때문에

필요한 사람은 유료 회원 등록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지난 1월 24일 중국 인민은행은 2월 5일부터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을 0.5%p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지급준비율의 인하 조정은 사실 지난 19년도부터 지속되온 것으로

 

중국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유동성 공급 움직임으로 보는데

 

문제는 공급측 개혁이라는 단어가 나온 15년, 16년 그리고 그림자 금융문제가 언급된 17년 이후로

경기를 부양하는 움직임이 벌써 5년째 지속되고 있다는 점과 

 

그 과정 중에서 부동산 거품이 엄청 커졌다가 크게 빠지면서 헝다 사태, 비구안 사태 등이 발생하며 경기 상황이 본격적으로 악화되는 모습이 보인다는 점이다.

 

그러면, 중국 경제는 향후에 어떻게 될까?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당분간 이 상황이 지속될 것 같다.

 

적어도 부동산 거품관련 이슈가 다 끝날 때까지는 지속될 것 같긴 한데,

그 다음에 고부가 제조업으로 성장하지 않으면 

아마 중진국 함정에 묶여버리지 않을까? 싶다.

 

그러면, 중국에서 사업하는 한국 기업들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아마 중국 경기회복이 지연되더라도 시진핑 정부에서 이야기하는 공동부유 정책과 더불어

3억명의 농민공이 400만 인구 수준의 2~3선 도시 호구를 얻으며 안정적인 생활 터전을 확보하고

소비여력이 조금씩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에 중저가 소비재 수요는 완만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는데...

 

고급 내구재 수요는 아마 과거만큼 빠르게 성장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