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통 스타트업은 IT Product를 가지고 성장한다 

 

따라서 지표를 중심으로 관리해야 한다.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사업이 겉으로는 성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Cash가 부족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ex) 많은 제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돈을 잃고 있거나 / 생산성 유출이 발생하거나 / 가시성이 충분치 않아 좋은 기회를 놓치거나 / 문제를 너무 늦게 발견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거나

 

지표를 볼 때는 지표 그 자체보다 맥락을 읽어야 함

1. 전환율 3%이 나쁜지 좋은지 알 수 없다.

2. 다른 채널 전환율 1% 보다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그러나, 지난달 전환율이 5% 였다면 3%는 좋지 않다.

 

PV (Page View) - 페이지 조회 할 때마다 누적되는 카운팅 수

UV (Unique Visitors) - 특정기간 웹사이트에 방문한 순 방문자수(중복을 제거함)

DU (Duration Time) - 서비스 체류시간 / 웹이나 앱에 머무르 시간

Session - 쿠키 기반으로 아무 활동 없이 30분 경과시, 자정을 넘겨서 하루가 지난 경우, 유입 경로가 바뀐 경우 세션을 새로 수집함

 

 

Conversion Rate - 전환 / 앱이나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다음 행동으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

 

Active User - 활성 이용자 

- 근데 Active를 뭘로 정의할 것인가?

 

DAU - Daily Active User (한 사람이 여러번 Active 조건에 부합해도 1명으로 계산)

MAU - Monthly Active User

 

Stickiness - 활성화율 / DAU 대 MAU 비율

- DAU 대 MAU 1:5 는 월간 활성 사용자 5명 중 1명은 매일 우리 웹에 접속

 

Churn Rate - 이탈하는 고객 관리

- 이탈의 정의를 무엇으로 하는가가 중요함

 

Retention Rate - 일정 기간 고객을 유지하는 비율

 

GMV - Gross Merchandise Value (총 거래액)

- 일정기간 판매로 발생한 총 금액

- Revenue는 총총 GMV의 수수료 수준으로 작을 수도 있다.

 

Recurring Revenue (ARR / MRR) Annual / Month

ARR - 연간 반복 수입

MRR - 월간 반복 수입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 사용자당 평균 수익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유료 사용자당 평균 수익

- 돈을 실제로 지불한 사용자에게만 관심있는 경우

- 기업의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유저들이 얼마나 낼 의향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 ARPPU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가격선을 파악할 수 있음

 

ROAS(Return on Ad Spending) - 광고수익률

-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얼마나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광고수익률 = 매출 / 광고비 X 100%

 

 

Unit Economics - 공헌이익 or LTV : CAC

 

LTV(Life Time Value) - 고객평생가치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 고객 유치 비용

반응형
반응형

맥킨지 7S 모델의 경우 Hard 3S, Soft 4S 로 구성된다.

Hard 3 요소

Strategy - 전략 - 회사가 비전을 달성하는 방법, 환경의 기회와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

Structure - 구조 - 회사가 구성되는 방식, 전략 실행을 지원하는 조직구조

Systems - 시스템 - 직원이 수행하는 공식적/비공식적 활동 및 프로세스로 전략 실행을 지원하는 계획, 통제 및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

 

Soft 4 요소

Style - 스타일 - 회사 리더의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은 전략 실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

Staff - 직원 - 조직 구성원과 그들이 가진 역량은 성공의 핵심요소임

Skill - 기술 - 구성원이 가진 기술과 능력, R&D 역량 기반 미래 기술 개발 및 지식확장

Value - 가치 - 회사 Mission 에 포함되어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임

 

반응형
반응형
전략은 항상 중요하다.

그런데... 전략은 뭐지?
http://trmcap.blogspot.com/2022/09/blog-post_13.html
위의 내용을 참고하자.

 

이런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위와 같은 질문을 가진 분들을 위해 
아래와 같은 전략 수립의 다섯가지 단계를 소개한다.


1. 목표수립(Goal Setting), 

2. 경쟁 영역의 정의(Define Competitive Area), 
3. 구체적인 경쟁의 방법(How to do for Competition) 수립, 
4. 자원의 배분(Budgeting), 
5. 실행(Action)
 
뭔가 매우 심플해 보이는가? 사실 이 세상 모든 일이 다 그렇다. 알고나면 모든 것이 매한가지.
그럼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먼저, 1. 목표수립이다.

 

전략의 목표는 높은 성과이다. 그런데 높은 성과란 무엇인가?

높은 성과는 본인이 원하는 것을 얻어서 

만족하는 상황을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돈을 1억원 벌겠다는 목표를 수립하는 경우 

1억의 수입이 전략적 목표가 되겠다.

 

그 다음에는 2. 경쟁 영역의 정의이다.

 

아까 위에서 돈을 1억원 벌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면 어떤 영역에서 돈을 벌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내가 어떤 영역에서 경쟁을 할 것인지? 내가 어디에서 싸울 것인지?)

 

예를 들어 1억원을 벌기 위해서 1. 자영업이나 사업을 할 수 있고, 2. 대기업에 입사할 수 있고, 3. 투자를 통해 돈을 벌 수 있고 심지어는 유튜브를 하거나 불법적인 도박을 해서도 돈을 벌 수 있다.

이렇게 어느 영역에서 경쟁의 판을 열어서 원하는 목표를 성취할 것인지가 전략 수립의 2단계이다.

근데, 문제는 어느 영역에서 싸울지를 정하기 위해서는 각 영역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필요한데, 학습의 분야 관점에서 3C Frame 또는 SWOT Frame을 사용하기도 한다.

3C Frame - Customer(시장), Competitor(경쟁자), Company(자사)

SWOT Frame - 나의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해당 영역과 관련된 외부환경의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

 

 

 

 

이렇게 하여 어느 영역에서 경쟁할지를 정했다면

제 3단계 어떻게 경쟁할 것인가의 How to를 정해야 한다.

 

이 How to는 경쟁전략 수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세부 계획 수립 단계로

바로 여기에서 마이클포터가 이야기 한 본원적 전략(Generic Strategy) 개념이 적용된다.

1. 원가 우위 전략 / 2. 차별화 전략이 바로 그것이다.

 

1) 원가 우위 전략은 Operation Excellence (운영효율 극대화)와 연결되는데,

운영효율 제고를 통해 각 Value Chain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낮춰

총원가를 낮춘다는 뜻이다. (제조원가, 물류비, 수출입 부대비용, 창고비, 기타 공통비 등등)

 

2) 차별화 전략은 고객들로 하여금 경쟁사와 차별화되어 당사의 제품이 선택되게 함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고객에게 가치제안을 하고 이를 통해 판가를 인상할 수 있다.

(제품 품질/디자인 개선,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value up, 경쟁사 제품 폄훼 활동 등등)

 

 

결국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판가를 올리고 원가를 내리는 것이고

이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설명된다.

 

 

결국 가격과 비용의 Gap을 최대한 키워서 이윤을 극대화 하는 것이 목표이고

경쟁전략의 달성을 위해 하위 레벨에서 전술을 수립하기도 한다.

 


(참고할 수 있는 전술들...)

 

이렇게 경쟁 전략 (어떻게 싸울 지) 정한다면 그 다음은... 바로 

자원 할당 / 예산 수립 Budgeting 이다.

 

자원을 할당하거나 예산 계획을 수립하는 이유는 바로 아래와 같은데,

이러한 한정된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경쟁전략 레벨에서

포기를 통한 선택과 집중을 한다.

 

 

 

이렇게 예산 계획까지 수립했다면 이제 전략 수립의 5단계 중 4단계를 완성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는 바로 실행인데,

1~4단계까지 수립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실행 가능성을 고민해야 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진행되는지 (On track 여부 점검) 파악하기 위해

핵심 성과 지표 (KPI)를 수립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지표확인을 통해 성과를 점검하고

전략 수정의 필요성 등을 지속 고민하며 개선해 나가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이 세상에 2가지 전략 밖에 없다고 한다면...

 

무조건,

1. Cost Leadership Strategy - 원가 우위 전략

2. Differentiation Strategy - 차별화 전략

 

이렇게 2가지 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것을 전략의 본질 또는 본원이라고 하는데,

사실 이건 HBS의 마이클포터 교수가 한 이야기다.

 

그만큼 이 두가지 전략은 모든 기업이 기본적으로 추진하는 전략이고

모든 전략에서 항상 검토되는 내용인데,

이 전략에는 아주 심각한 결함이 있다.

 

그 결함은... 바로

이 전략을 지속하는 경우 반드시 망한다는 점이다.

Not Sustainable!!!

 

 

 

 

 

반응형
반응형

오늘(10월 4일) 위와 같이 네이버가 미국의 온라인 중고 패션 플랫폼인

'포쉬마크' 를 2조 3천억원에 인수한다는 뉴스가 떴다.

 

왜? 네이버는 미국의 온라인 중고 제품 거래 플랫폼을 인수한 것일까?

(한국의 당근마켓을 인수한 것도 아니고..)

 

아마도,

1. 미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 확보 하 한국-일본-유럽으로 연결되는 C2C 유통채널 확보 및 확대

2. 미국의 젊은 세대(MZ 세대) 유입 확보 등의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또 뭐가 있을까?

반응형
반응형

Introduction

• Business decisions particularly strategic ones, need a clear identification of the relevant variables and a detailed in depth analysis of them to understand their impact and implications for their organizations. Eg What is the impact of the different aspects of liberalization on a company?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liberalizations for the company? Etc

소개

• 비즈니스 결정, 특히 전략적 결정은 관련 변수를 명확하게 식별하고 해당 변수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세부적인 심층 분석이 필요합니다. 예: 자유화의 다양한 측면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기업에 대한 자유화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등

Stages of Environmental Analysis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analysis is divided into 4 stage

1. Scanning the environment to detect warning signals

2. Monitoring specific environmental threats

3. Forecasting the direction of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4. Assessing current and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for their organizational implications

환경 분석의 단계

환경분석의 과정은 4단계로 나뉩니다.

1. 환경을 스캔하여 경고 신호 감지

2. 특정 환경 위협 모니터링

3. 미래 환경 변화의 방향 예측

4. 조직적 의미에 대한 현재 및 미래의 환경 변화 평가

Scanning

• Scanning i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nviron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which impact on or have implications

for the business. Such factors may include those which have appeared suddenly or evolved over the time, identification of emerging trends etc.

스캐닝

• 스캐닝은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기 위해 환경을 분석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사업을 위해. 이러한 요인에는 갑자기 나타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한 요인, 새로운 경향의 식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Monitoring

• It is a perspective follow up and a more in depth analysis of the relevant environmental trends identified at the scanning stage. The

effort here is more focused and systematic than in scanning. The purpose of monitoring is to assemble sufficient data to discern whether certain patterns are emerging. However they are likely to be a complex of discrete trends.

모니터링

• 스캐닝 단계에서 식별된 관련 환경 경향에 대한 관점의 후속 조치이자 보다 심층적인 분석입니다. 그만큼

여기에서의 노력은 스캐닝보다 더 집중적이고 체계적입니다. 모니터링의 목적은 특정 패턴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불연속적인 경향의 복합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orecasting

• Anticipating the future is essential for identifying the future threats and opportunities and for formulating strategic plans.

Forecasting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lausible directions, scope, speed and intensity of environmental change, to lay out the evolutionary path of anticipatory change.

예측

•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미래의 위협과 기회를 식별하고 전략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예측은 환경 변화의 그럴듯한 방향, 범위, 속도 및 강도의 개발과 관련되어 예상 변화의 진화 경로를 제시합니다.

Assessment

•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analysis is to assess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rganizations business or their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Assessment thus involves drawing up implications/possible impacts.

평가

• 환경 분석의 목적은 환경 요인이 조직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이나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평가에는 함의/가능한 영향을 도출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Approaches to environmental Analysis

1. Outside – in ( Macro ) Approach

2. Inside – Out ( Micro ) Approach

• Macro approach takes a broad view of business environment with a long term perspective and develops alternative scenarios of the future. The implications of the alternative scenarios for the industry and organization are drawn up with reference to different scenarios.

환경 분석에 대한 접근

1. 외부 – 내부( 매크로 ) 접근

2. 인사이드 아웃(마이크로) 접근

• 거시적 접근은 장기적 관점에서 비즈니스 환경을 폭넓게 바라보고 미래의 대안 시나리오를 개발합니다. 산업 및 조직에 대한 대안 시나리오의 의미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작성됩니다.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Analysis

• Verbal and written information

• Search and scanning

• Spying

• Forecasting

환경 분석 기법

• 구두 및 서면 정보

• 검색 및 스캔

• 스파이

• 예측

Steps in Environmental Forecasting

• Identification of relevant Environmental variables

• Collection of information

• Selection of forecasting technique

• Monitoring

환경 예측의 단계

• 관련 환경변수 식별

• 정보 수집

• 예측기법 선정

• 모니터링

Identification of relevant environmental variables

• Include all variables that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although their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low

• Disregard major disasters such as nuclear war

• Aggregate when possible into gross variables

• If the value of one variable is based on the value of the other, separate the dependent variable for future planning

관련 환경변수 식별

• 발생 확률은 낮지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모든 변수를 포함합니다.

• 핵전쟁과 같은 주요 재난 무시

• 가능한 경우 총 변수로 집계

• 한 변수의 값이 다른 변수의 값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향후 계획을 위해 종속 변수를 분리합니다.

Collection of Information

• This involves identification of the sources of information, determination of the types of information to be collected, selection of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collection of the information.

정보 수집

• 여기에는 정보 출처 식별, 수집할 정보 유형 결정,

데이터 수집 및 정보 수집 방법.

Selection of forecasting technique

• The choice of forecasting depends on such considerations as the nature of forecast decision, the amount and accuracy of available information, the accuracy required, the time available, the importance of the forecast, the cost and th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managers and forecaster involved

예측기법 선정

• 예측의 선택은 예측 결정의 성격, 이용 가능한 정보의 양과 정확성, 요구되는 정확도, 이용 가능한 시간, 예측의 중요성, 비용 및 관리자의 능력 및 대인 관계와 같은 고려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관련된 예측가

Types of Forecasting

1. Economic forecast

2. Social Forecast

3. Political Forecast

4. Technological Forecast

예측 유형

1. 경제전망

2. 사회적 예측

3. 정치 예측

4. 기술전망

Economic forecast

• Important economic factors often considered include general economic condition, GDP, growth rate, per capita income, distribution of income, structural changes in GDP, Investment and output trends in different sectors and subsectors/ Industries, price trends, trade and BOP trends etc

경제 예측

• 종종 고려되는 중요한 경제 요인에는 일반 경제 상황, GDP, 성장률, 1인당 소득, 소득 분포, GDP의 구조적 변화, 다양한 부문 및 하위 부문/산업의 투자 및 산출 동향, 가격 추세, 무역 및 BOP 추세 등이 포함됩니다.

• Reliable forecast give very useful picture of the future scenario helpful to planning and strategy. For example details of power development would indicate the scope of investment in power sector itself and related industries like generators, cables, transformers, switch gears etc.

• Short term economic forecasts are very useful for demand and sales forecasting and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 Quantitative and such as econometric methods & time series models and qualitative techniques such as judgement models can be used for economic forecasts

•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은 계획 및 전략에 도움이 되는 미래 시나리오에 대한 매우 유용한 그림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전력 개발의 세부 사항은 전력 부문 자체 및 발전기, 케이블, 변압기, 스위치 기어 등과 같은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 범위를 나타냅니다.

• 단기 경제 예측은 수요 및 판매 예측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매우 유용합니다.

• 정량적 및 계량적 방법 및 시계열 모델과 같은 판단 모델과 같은 정성적 기법을 경제 예측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Social forecast

• There are number of social factors which have profound impact of business. It is therefore very essential to forecast the possible changes in the relevant social variables. Important factors include population growth/ declin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ethnic composition of population, occupational pattern, ruralurban distribution of population, migration, factors related to family, lifestyle, income levels, expenditure pattern, social attitudes etc.

사회적 예측

• 비즈니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많은 사회적 요인이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사회 변수의 가능한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중요한 요인으로는 인구 증가/감소, 인구의 연령 구조, 인구의 인종 구성, 직업 패턴, 농촌 인구 분포, 이주, 가족과 관련된 요인, 생활 방식, 소득 수준, 지출 패턴, 사회적 태도 등이 있습니다.

Technological Forecast

• Innovations and other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 drastically alter the business environment. Technological forecast therefore implies great significance.

• Technological forecast encompass not only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the pace and extent of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technologies and their implications

기술 예측

• 혁신 및 기타 기술 개발은 비즈니스 환경을 크게 변화시킵니다. 따라서 기술적 예측은 큰 의미를 내포합니다.

• 기술예측은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기술의 보급과 보급의 속도와 정도와 그 함의까지 포괄한다.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forecasting

1. Econometric techniques

2. Trend extrapolation

3. Scenario Development

환경예측 기법

1. 계량기법

2. 추세 외삽

3. 시나리오 개발

Econometric Techniques

• Economic techniques involve casual models to predict major economic indicators. Where there is well established 2 or more variables, that causal relationship can be used to forecast the future. The most commonly used econometric environmental forecasting techniques a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계량기법

• 경제 기법은 주요 경제 지표를 예측하는 캐주얼 모델을 포함합니다. 잘 정립된 2개 이상의 변수가 있는 경우 해당 인과 관계를 사용하여 미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량 경제학 환경 예측 기법은 다중 회귀 분석과 시계열 회귀 모델입니다.

Trend extrapolation

• Time series models assume that the past is prologue to the future and extrapolate the historical data to the future. This technique may use simple linear relationship or more complex non linear relationships to forecast trends.

추세 외삽

• 시계열 모델은 과거가 미래의 프롤로그라고 가정하고 과거 데이터를 미래로 추정합니다. 이 기술은 추세를 예측하기 위해 단순한 선형 관계 또는 더 복잡한 비선형 관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enario development

• Scenario analysis is a technique used to forecast the occurrence of complex environmental events. Its is particularly useful for forecasting events in which many variables play a role. Shrivasta suggests the following steps to develop scenarios.

시나리오 개발

• 시나리오 분석은 복잡한 환경 이벤트의 발생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많은 변수가 역할을 하는 이벤트를 예측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Shrivasta는 시나리오 개발을 위해 다음 단계를 제안합니다.

Steps to develop scenarios

1. Identify strategic environmental issues that are likely to affect the industry/firm

2. Select the most important issues as focus for scenario development

3. Prepare a preliminary description of these issues and how they evolved

4. Draw out the implications of the issue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5. Develop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uture in the form of scenarios

6. Discuss the scenarios with top level management and refine them

7. Develop contingency plans for each scenario

시나리오 개발 단계

1. 산업/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적 환경이슈 파악

2. 시나리오 개발의 초점으로 가장 중요한 이슈 선정

3. 이러한 문제와 이러한 문제가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예비 설명을 준비합니다.

4. 조직 성과에 대한 문제의 의미 도출

5. 시나리오의 형태로 미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개발하십시오.

6. 최고 경영진과 시나리오 논의 및 개선

7. 시나리오별 비상계획 수립

Benefits of Environmental Analysis

1. Makes one aware of the environment- organization linkage

2. Helps identify future threats & opportunities

3. Provides picture of factors which influence the business

4. Helps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industry environment

5. Technological forecasting will indicate some of the futur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6. Environmental analysis is a prerequisite for formulation of strategies

7. Environmental analysis helps in identification of risks

8. Environmental monitoring helps suitable modification of the strategies as and when required

9. Environmental analysis keeps the managers informed, alert and often dynamic

환경 분석의 이점

1. 환경-조직의 연계성을 인식시킨다.

2. 미래의 위협 및 기회 식별에 도움

3.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그림 제공

4. 산업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기술적 예측은 미래의 기회와 도전의 일부를 나타낼 것입니다.

6. 환경 분석은 전략 수립을 위한 전제 조건

7. 환경 분석은 위험 식별에 도움이 됩니다.

8. 환경 모니터링은 필요할 때 전략의 적절한 수정을 돕습니다.

9. 환경 분석은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경계하며, 종종 동적으로 유지합니다.

Limitations of Environmental Forecasting

Environmental analysis has certain limitations, some of them arise from the forecasting techniques used. Further there are also chances of certain errors affecting the reliability of the forecasts. Errors may occur in

1. The selection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predictive model

2. Selection of the functional form for linking these predictor variables to the variables being predicted

3. The estimation of correct values for the predictor variables. Several techniques use opinions of people and they may be affected by subjectivity.

환경예측의 한계

환경 분석에는 특정 제한 사항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사용된 예측 기술에서 발생합니다. 또한 예측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오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예측모형에 포함된 변수의 선정

2. 이러한 예측 변수를 예측되는 변수에 연결하기 위한 기능적 형태의 선택

3. 예측 변수에 대한 올바른 값의 추정. 여러 기술은 사람의 의견을 사용하며 주관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매경 이코노미를 보다가 쿠팡의 기사를 봤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아래 사진과 같은데.

 

온라인 쇼핑몰로 시작한 쿠팡이 쿠팡이츠 브랜드로 식품배달 업계에 뛰어들었고

얼마전에는 OTT를 시작했다.

 

그리고 자체 택배 센터를 짓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고

(심지어 한국 택배 1위 대한통운보다도 택배 물류센터가 많다고 한다)

 

이제는 중고차 시장도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상표도 무려 '쿠릉' 이다. 부릉부릉이나 쿠릉쿠릉도 아니고...

 

매년 몇 조씩 적자를 내고 있는 쿠팡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많은 사람들은 쿠팡이 미국 온라인 업체인 아마존을 따라하고 있다고 말하는데

실제로 지금까지의 행보를 보면 아마존을 따라가는 것은 맞는 것 같다.

 

그런데 보유한 핵심 역량은 아마존과 좀 다른 것 같은데... 성공할 수 있을까?

 

정보도 부족하고 생각도 짧은 내 의견을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1. 온라인 책방으로 시작한 아마존은 AWS라고 아마존 웹 서비스 등 클라우드로

     Cash 를 벌면서 타 사업을 계속 지원했는데..

    쿠팡은 비전 펀드가 Cash를 밀어주는 것 외에는 없다

 

 2. 아마존은 인구 3.3억명, GDP 20조$의 미국 시장에서 쇼핑몰 1위를 목표로 사업을 했고

     쿠팡은 인구 0.5억명, GDP 1.6조$의 한국 시장에서 쇼핑몰 1위를 목표로 사업을 하고 있다.

 

 3. 아마존은 기업 가치 Multiple을 잘 받을 수 있는 미국에서 사업을 하지만

     쿠팡은 기업 가치 Multiple을 잘 받기 어려운 한국(코스피, 코스닥)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등의 이유로 쿠팡이 Breakthrough 할 수 있는 신박한 비전과 전략이 없다면 

쉽지 않은 시간을 보내지 않을까 한다.

 

반응형
반응형

세일즈포스라는 회사가 있다. 

(왜, 나는 세일즈포스닷컴SFDC으로 알고 있는지...)

 

많은 분들은 처음들어본 회사이겠지만,

CRM(고객 관리) 및 관련 분야에서는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 IT 기업보다 경쟁력을 보유한 회사로 

(포춘 100대 기업 중 99개 기업이 이 업체의 고객이라고 한다)

 

간단히, 전 세계 M/S 1위의 클라우딩 기반 CRM 플랫폼 업체인데

19년 기준, 매출 133억불으로 매우 큰 회사라고 보면 된다.

 

 

 

한국에는 2007년에 진출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는 잘 보이지 않고 있는데

이는 세일즈포스가 경쟁력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한국 기업들의 CRM 방식이 클라우드 방식을 도입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19년 6월 기준 한국 내 임직원의 평균 근속 년 수가 6개워 미만이라고 한다)

 

아무튼...

이런 회사인데 

아래와 같이 뜬금 없는 기사가 떴다.

 

1,000명을 해고한 그 다음 주에 12,000명을 추가 채용하겠다고?

아래 기사를 쭉 읽어보니 3Q 매출이 50억$이라서 연간 200억$ 매출 구조를 만들었고

(위에 19년 매출이 133억$ 이었던 것을 기억하자)

 

6개월 내 4,000명 신규 고용, 21년 내 12,000명을 신규 고용하겠다는 내용이다.

(현재 이 회사의 총 직원 수가 54,000명이다)

 

 

그럼 1,000명 해고된 사람은?

아래 내용을 쭉 읽어보니... 아직 해고된 것은 아니고 통보 받은 1,000명은

회사 내에서 새로운 포지션을 60일 내에 찾도록 했는데,

결국 새로운 자리를 못 찾은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새로운 영역 또는 더 나은 인력을 12,000명을 다시 뽑는 것이고...

 

이렇게 글로벌 기업들은 회사가 계속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도 

역량 부족 등으로 불필요한 인력이라고 생각하거나

역량은 있더라도 전략에 불일치하는 경우 수시로 구조조정 하면서

전략에 맞게 인적자원 재배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