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식발표]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시행해온 해외발 입국자 시설 격리를 내달 8일부터 폐지하기로 했다.아울러 중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대해 '갑'류 관리를 해제하는 동시에 '을(乙)'류 관리 시스템을 적용키로 했다.

중국은 2020년 1월 코로나19를 감염병예방법 규정상의 '을류' 감염병으로 규정하면서도 방역 조치는 '갑류'에 맞춰왔는데, 내년 1월8일부터는 감염병 등급 규정 및 관리 수준 모두 '을류'로 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달 8일부터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감염자에 대해 격리 조치를 시행하지 않으며, 밀접 접촉자 판정도 하지 않는다. 또한 감염 고위험 또는 저위험 지역 지정을 하지 않으며, 입국자 및 화물에 대해 '감염병 검역 관리 조치'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는 코로나19의 공식 명칭을 '신형 코로나형 바이러스 폐렴'에서 '신형 코로나형 바이러스 감염'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코로나19 정식 명칭에서 '폐렴'을 뺀 이유에 대해 "(2020년) 초기 감염 사례 대부분에서 폐렴 증세가 있었는데 오미크론 변이가 주종이 된 이후 극소수 사례에서만 폐렴 증세가 있다"며 변경된 명칭이 현재의 질병 특징과 위험성에 더 부합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또 고령자에 대한 백신 접종률을 가일층 높이고, 중증 고위험군에 대해 백신 제2차 강화 접종(부스터샷)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입원 병상과 중증자 병상 준비를 중점적으로 하기로 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와 국무원 합동방역기구 등 방역 당국은 내달 8일자로 코로나19에 적용해온 최고강도의 '갑(甲)'류 감염병 방역 조치를 해제하기로 했다며 출입국 관련 방역 최적화 조치로 이 같은 방침을 시행할 것이라고 26일 밝혔다.

현재 중국 정부 규정상 해외발 입국자는 5일 시설격리에 3일 자가격리 등 8일간 격리를 하게 돼 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 8일부터 해외발 중국 입국자는 지정된 호텔 등 별도의 격리시설을 거치지 않고, 일정기간 재택 격리 또는 건강 모니터링만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 정부는 중국에 입국하려는 사람에 대한 방역 관련 요구 사항도 간소화했다.

출발 48시간 전에 실시한 PCR검사 음성 결과가 있으면 입국이 가능하며, 출발지 소재 중국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건강 코드를 신청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 해외발 입국자 전원에 대한 입국후 PCR검사도 없애기로 했다.

이에 따라 입국후 공항에서 실시하는 건강 신고와 일반적 검역 절차에서 이상이 없으면 곧바로 중국 사회에 발을 들일 수 있다고 중국 당국은 밝혔다.


반응형
반응형

가계, 기업, 정부 - 경제의 3요소이다.

이 중 가계의 소득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노동 소득이다.

 

문제는 이 노동 소득의 전성기가 바로 42세 때이고 

61세가 되면 적자 인생으로 전환된다는 것,

 

심지어 국민연금도 65세부터 지급인데...

반응형

'Insight Of Life > 생활 정보 및 상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 체력의 중요성  (0) 2023.01.12
스타벅스 경동 1960  (0) 2022.12.29
자주 틀리는 맞춤법 관련 참고  (0) 2022.11.09
평어사용 클래스 - 경희대  (0) 2022.10.18
문경 석탄박물관  (0) 2022.09.27
반응형


언어 맞춤법은 사회적 약속으로
나와 해당 사회 외부의 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온라인에서 흔히 틀리는 맞춤법 내용과
이를 정정하는 내용을 업로드 하니
참고하여 원활하고 긴밀한 소통이 될 수 있게하면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1973년 28세 28명의 신년 단체사진

1973년 8월 14일 경향신문 1면 사진으로...
지금의 28세의 외모와 한번 비교해서 생각해보자.
 
물론 지금은 0.8 계수를 적용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기는 하지만..
아무튼...
 
그런데...
 

안창남을 아는가?

 
1901년에 태어나서 1922년 그러니까 22세에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한국 상공을 비행하였고 
 
1924년, 즉 24세에 중국 내 군벌에 협력하여 비행학교의 교장으로 활동하고 

1929년, 29세에 대한독립공명단의 비행대를 설립하는 인물이다.

 

즉, 30대 이전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분인데...

 

지금의 우리는 어떠한가? 30대? 40대? 그리고 무엇을 이뤘는가?

생각해 볼 문제이다.

반응형
반응형


원래 사람의 뇌는 창의력이 높다.

하지만, 사회와 조직 등 내 주변을 둘러싼 것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스스로의 창의성을 제약한다.
(이렇게 하면 규칙을 벗어나는 것은 아닐까?
이렇게 말하면/행동하면 비난받지 않을까?)

이 창의성을 되찾으려면…
심리적 안정감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수평적인 관계가 중요하다. 이를 조직문화에 대입한다면…
서로에게 존중의 마인드와 기본적인 매너를 바탕으로
서로가 서로를 편하게 느끼는 조직이라면
각 개인의 창의력과 창발성이 충분히 나오지 않을까 한다.

반응형
반응형

문경에 여행을 간다면 추천할 만한 곳이 있다.

 

'에코랄라' 라는 곳인데 그곳에는 유아용 놀이동산,

가은오픈스튜디오(사극 촬영 스튜디오), 은성탄광을 활용한 석탄박물관이 있다.

 

이번에는 이 석탄박물관에 대한 내용인데...

석탄과 연탄 그리고 탄광에 대한 간단한 상식을 얻을 수 있어서

초/중/고 학생들의 교육 장소로도 손색이 없어 보인다.

먼저 1층에서 바라본 2층 모습이다.

매우 깔끔하게 되어있다.

먼저 2층에 올라오면 석탄이라는게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석탄의 기원?) 배울 수 있고...

 

석탄으로 제조하여 민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연탄에 대해 알 수 있다.

 

 

연탄이란... 무연탄을 주원료로 하여 코크스와 목탄가루, 당밀, 전분, 펄프폐액 등을 분쇄하고 배합하여

성형, 건조시킨 원통형 고체연료로 구멍탄이라고 하기도 하고 구멍 갯수에 따라 이름을 다르게 부르기도 한다.

 

연탄의 기원...

19세기 일본 큐슈 지방에서 사용되던 통풍탄이 그 효시로 보는데,

1907년 연탄제조기가 발명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한국에는 1920년대에 도입되기 시작했고 그 이후 급속히 확대되어 1990년대 까지도 꽤 쓰였다.

 

 

위의 내용을 보고 구공탄이 왜 구공탄인지 알았다.

 

말 그대로 구멍이 아홉(9)개 있는 연탄이라서 구공탄인데,

구멍이 많을수록 화력이 강하고 대신에 수명이 짧은 특징을 보여준다.

 

연탄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심지어 수제(?)로 연탄만드는 설비도 있다. 

 

이렇게 2층을 둘러보고 나면... 

 

이제 2층의 탄광이야기가 시작된다.

탄광 이야기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자.

 

https://the-investor.tistory.com/166

 

은성탄광 이야기

은성탄광이라고 들어봤는가? 1938년 일제 강점기 시절 남한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탄광으로 현재 주소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능길에 위치하고 있다. 이 탄광의 이름이 은성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the-invest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은성탄광이라고 들어봤는가?

 

1938년 일제 강점기 시절 남한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탄광으로

 

현재 주소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능길에 위치하고 있다.

이 탄광의 이름이 은성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석계역처럼 가은읍 + 마성면의 은 과 성을 조합해서 만든 것으로 1945년 해방 후 미군정 소유가 되었다가

1950년 대한석탄공사의 설립과 동시에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위 사진은 과거 은성탄광 사무실을 재연해 놓은 것으로 에코랄라 안에 있는 석탄박물관을 방문하면 잘 볼 수 있다.

 

탄광의 삶은 쉽지 않았는데....

이렇게 생명을 걸고 일해야 했고 남편이 일하다가 목숨을 일하면

부인이 그 탄광에서 선탄 작업을 해야하는 애환이 많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 당한 다음 날인 1979년 10월 27일

이 은성탄광에서는 갱내 화재로 44명이나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었다.

(그런데, 언론에서는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고 한다. https://ncms.nculture.org/coalmine/story/3831 )

 

지금도 문경 에코랄라에 입장하면 위와 같은 보존된 과거 탄광 안을 둘러볼 수 있는데,

 

이렇게 당시 채굴 모습을 재현해 놓은 것들을 볼 수 있고,

 

밖에 나와서는...

 

아래와 같이 1960~70년대 탄광 앞 마을 모습을 재현한 곳도 볼 수 있다.

견문을 넓히기 위해 한 번쯤 방문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면역력을 강화하자라는 단어를 들어본적 있는가?

 

그럼 아래의 그림을 보자.

 

 

 

 

 

정리하자면...

 

백신 접종이나 특정 항체 투입 등을 통해 몸에 침투한 특정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막을 수는 있겠으나...

어떤 건강식품을 먹어서 전반적인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일 수는 없다.

 

누군가 뭘 먹어서 또는 뭘해서 전반적인 면역력을 높인다는 말을 한다면...

뭘 모르는 분이거나... 어떤 의도가 있거나...

 

둘 중 하나일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