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바일 및 사설 IP 영역대

 

[SKT]
---------------------------------------------------------------------------
115.161.*.*  122.202.*.*  223.38.*.*  223.32.*.*  122.32.*.* 
211.234.*.*  121.190.*.*  223.39.*.*  223.33.*.*  223.62.*.* 
203.226.*.*  175.202.*.*  223.57.*.*  


[KT]
---------------------------------------------------------------------------
175.223.*.*  175.252.*.*  210.125.*.*  211.246.*.*  110.70.*.* 
39.7.*.*  118.235.*.* 


[LGU+]
---------------------------------------------------------------------------
114.200.*.*  117.111.*.*  211.36.*.*  106.102.*.*  61.43.*.* 
125.188.*.*  211.234.*.*  106.101.*.* 


[사설]
---------------------------------------------------------------------------
127.0.0.1  172.16.*.* ~ 172.31.*.*  192.168.*.*  10.*.*.* 

반응형
반응형

정말 오랜만에 삼성 안드로이드 폰 A90 5G 모델을 꺼내봤다.

 

어쩌다 보니 들고 있는 핸드폰이라 친구 빌려주려고 꺼냈는데...

 

문제는 너무 오랬동안 안쓰다 보니 비밀번호를 읽어버렸다.

 

그래서 과거 롬질하던 기억을 되살려서 부트로더에 진입을 하려고 핸드폰을 끄려고 하니 

끄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한다!!! 헉!! 나 비밀번호 몰라서 껐다켜서 부트로더 진입하고

Factory Reset 을 하려는건데...

 

막 방법을 검색하고 삽질을 시작했다.

 

그 결과 얻어낸 확실히 되는 방법을 겨우 찾은바, 

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강제로 끄는 (Turn - off) 방법 

- 빅스비 버튼과 음량 감소 (-) 버튼을 함께 누른다.

- 강제로 꺼질 때까지 누르고 있는다.

 

부트로더 들어가는 방법

-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음량 증가 (+) 버튼과 빅스비 버튼을 누른다.

- 켜져서 부트로더 들어갈 때 까지 누른다.

- 주의 !!! 핸드폰이 PC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부트로더에 들어갈 수 있다.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어도 부트로더에 들어가지지 않는다.)

  --> 내가 이것때문에 30분은 허비한 것 같다. 

  --> 아무튼 PC에 케이블로 연결한 상태가 되야 부트로더 진입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

 

이 글을 보는 분들은 저 처럼 시간허비 하지 않으시길...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 이런 기사가 눈에 띄었다.

 

https://zdnet.co.kr/view/?no=20220512180515&fbclid=IwAR0BiT2eAuVwkWSHsONno9UFMBFZR59oEGGfN6HIbSuHX3CD8ojEH8krVLM 내

 

대법원, 야놀자 정보 크롤링 한 여기어때 창업주 '무죄'

숙박, 여가 플랫폼 선두 사업자 야놀자의 영업 정보를 무단으로 빼돌린 혐의로 기소된 여기어때 관계자들이 최종 무죄 판결받았다.12일 대법원 2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정보...

zdnet.co.kr

 

내용인 즉슨, 어떤 스타트 업 업체의 친구들이 야놀자 서버를 크롤링(Crawling) 했다가

 

정보통신망 침입, 업무 방해 및 저작권 법 위반에 대해서 기소를 당해 19년 3월 재판에 넘겨졌고

 

1심에서는 피고 업체의 대표에게 징역 1년 2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가,

2심에서는 무죄를 받은 사건이다.

 

 

그런데, 그 문제가 된 크롤링(crawling) 무엇일까? 

 

크롤링은 인터넷에 있는 웹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를 이야기하는데,

문제는 여기서 추출하는 정보들이 어떤 경우에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또는 어떤 업체 웹페이지 정보를 크롤링하는 것이 정보통신망 침입이나

업무 방해로 판단될 수 있는가에 대한 Risk 판단이 필요한 것이다.

 

 

일단, 크롤링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 안의 정보는 공개된 것으로 본다는 

법원의 판단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으니...

 

나중에 크롤링을 해야할 때 미리 생각해볼 만한 이슈인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DDNS 도메인을 구매 해볼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미 다 알고 있겠지만...

 

혹시나 하여 여기에 남겨본다.

 

어떤 업체(등록대행자)가 있고 그들이 제공하는 가격은 어떤지를 한 눈에 업체별 비교할 수 있는 정부 사이트이다.

 

바로 https://krnic.or.kr/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 이다.

 

한국인터넷정보센터에 접속해서 아래 그림 및 설명과 같이,

 

1. 인터넷주소자원

2. 도메인이름

3. 도메인이름 등록

4. 등록대행자 수수료 및 서비스 비교 하기 로 찾아들어가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등록대행자 수수료 및 서비스 비교 하기를 클릭하면...

 

 

이렇게 각 업체별로 도메인 종류별, 서비스별 비교 및 가격 비교를 한눈에 할 수 있다. 

(저 페이지에서 업체명을 클릭하면 각 업체 홈페이지로 이동)

반응형
반응형

TV 구매를 검토하면서 삼성 또는 LG TV에 Kodi를 설치할 수 있는지 검색해보니

아래 그림과 같이 엄청난 낚시성 결과물이 나온다.

 

 

어,,, 그래.. 가능한건가? 

기대감을 가지고 상당한 시간을 들여서 하나씩 글을 읽어봤는데,

다른 분들이 나처럼 삽질할까봐 먼저 답을 이야기하자면 삼성/LG TV에는 Kodi 설치 불가능이다.

(심지어 저거 대부분 VPN 업체 광고이다. 난 저 광고에 나오는 VPN업체는 절대 이용 안 할꺼다! ㅜㅜ)

 

위 그림에 나온 내용은 별도의 안드로이드 박스 등을 연결하거나

휴대폰을 이용해서 미러링 하라는 내용이다.

(아니 그걸 몰라서 이런 검색을 하고 앉았겠냐고...)

 

아무튼,

그래서 쉬운 방법이었던 무념무상 구글링(저글링 아니고..) 수준을 벗어나서

한 단계씩 구조적으로 판단을 시작해보니...

 

1. 삼성과 LG 스마트 TV에서 사용하는 OS를 확인한다.

2. Kodi에서 해당 OS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는지 확인한다.

3. 스마트 TV OS를 사용하는 포럼 등에서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냈는지 확인한다.

 

이런 구조를 짜고 훅 검색해 봤다.

 

먼저 삼성과 LG는 각각 타이젠(TIZEN) OS와 webOS를 사용하는데

삼성 TV에서 사용하는 타이젠 OS는 아래와 같은 OS 이다.

 

삼성전자와 인텔이 주도하는 리눅스 커널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인데

나름의 성과는 있지만 안드로이드 처럼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당연히 지원하는 어플이 아주 많지는 않다.

 

 

그리고 LG TV가 사용하는 webOS는
컴퓨터를 오래 다룬 사람이라면 좀 친숙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전설의 PDA인 Palm에서 사용했던 OS 였기 때문이다.

 

 

자, 이렇게 각 회사 TV에서 사용하는 OS를 확인했고,

이제 Kodi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OS를 확인해보자.

 

아쉽게도, Kodi는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라즈베리파이, iOS, MacOS, tvOS 외에는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Tizen이나 webOS에 대해 토론하는 포럼 등에서도

Kodi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 등이 몇년 전부터 있어 왔지만...

지원계획 등은 찾을 수 없었다.

 

자, 여기서 결론이 났다.

 

시간 낭비하지 말자,

한국의 삼성과 LG의 스마트 TV에서는 Kodi를 원활하게 돌릴 수 없고,

만약 Kodi를 활용하고 싶다면

안드로이드 TV를 지원하는 스마트 TV 구매가 불가피 하다. ㅜ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