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디 (Kodi) 가 갑자기 먹통이 되어 재설치를 하고 시놀로지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는데...

 

헉..... SMB 연결이 안된다... 그냥 unknown operation error 만 나오고...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내부 주소 192.168.xxx.xxx 를 입력할 때 포트번호 (일반적인 SMB 포트번호는 445임)를 붙여보라는 것이 있어서

 

그대로 해보니 연결된다.

 

혹시 나와 비슷한 증상을 겪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반응형
반응형

TV 구매를 검토하면서 삼성 또는 LG TV에 Kodi를 설치할 수 있는지 검색해보니

아래 그림과 같이 엄청난 낚시성 결과물이 나온다.

 

 

어,,, 그래.. 가능한건가? 

기대감을 가지고 상당한 시간을 들여서 하나씩 글을 읽어봤는데,

다른 분들이 나처럼 삽질할까봐 먼저 답을 이야기하자면 삼성/LG TV에는 Kodi 설치 불가능이다.

(심지어 저거 대부분 VPN 업체 광고이다. 난 저 광고에 나오는 VPN업체는 절대 이용 안 할꺼다! ㅜㅜ)

 

위 그림에 나온 내용은 별도의 안드로이드 박스 등을 연결하거나

휴대폰을 이용해서 미러링 하라는 내용이다.

(아니 그걸 몰라서 이런 검색을 하고 앉았겠냐고...)

 

아무튼,

그래서 쉬운 방법이었던 무념무상 구글링(저글링 아니고..) 수준을 벗어나서

한 단계씩 구조적으로 판단을 시작해보니...

 

1. 삼성과 LG 스마트 TV에서 사용하는 OS를 확인한다.

2. Kodi에서 해당 OS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는지 확인한다.

3. 스마트 TV OS를 사용하는 포럼 등에서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냈는지 확인한다.

 

이런 구조를 짜고 훅 검색해 봤다.

 

먼저 삼성과 LG는 각각 타이젠(TIZEN) OS와 webOS를 사용하는데

삼성 TV에서 사용하는 타이젠 OS는 아래와 같은 OS 이다.

 

삼성전자와 인텔이 주도하는 리눅스 커널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인데

나름의 성과는 있지만 안드로이드 처럼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당연히 지원하는 어플이 아주 많지는 않다.

 

 

그리고 LG TV가 사용하는 webOS는
컴퓨터를 오래 다룬 사람이라면 좀 친숙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전설의 PDA인 Palm에서 사용했던 OS 였기 때문이다.

 

 

자, 이렇게 각 회사 TV에서 사용하는 OS를 확인했고,

이제 Kodi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OS를 확인해보자.

 

아쉽게도, Kodi는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라즈베리파이, iOS, MacOS, tvOS 외에는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Tizen이나 webOS에 대해 토론하는 포럼 등에서도

Kodi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 등이 몇년 전부터 있어 왔지만...

지원계획 등은 찾을 수 없었다.

 

자, 여기서 결론이 났다.

 

시간 낭비하지 말자,

한국의 삼성과 LG의 스마트 TV에서는 Kodi를 원활하게 돌릴 수 없고,

만약 Kodi를 활용하고 싶다면

안드로이드 TV를 지원하는 스마트 TV 구매가 불가피 하다. ㅜㅜ

반응형
반응형

코디(KODI) 란 비영리 기술 컨소시엄인 XBMC라는 곳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미디어 플레이어 응용 소프트 웨어로

이걸 사용하면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한 셋탑 박스 또는 스마트 TV 등을

한층 더 강화된 미디어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실 윈도우, Mac OS, 리눅스, 라즈베리 파이 등 대부분의 OS에서 사용가능 하나

 미박스, 쉴드 등 대다수의 TV Box가 안드로이드를 사용 하는 관계로 안드로이드 OS를 이야기 했다)

 

이 코디를 설치하면 OS 내부, 외장하드, NAS 등에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불러와서 활용할 수 있는데

적절한 ADD ON을 추가하면 한국의 대표적인 OTT인 웨이브 및 티빙을 

코디 안에서 불러 볼 수 있다.

 

사실 웨이브나 티빙 모두 별도의 어플이 존재하나 굳이 코디 안에서 애드온으로 실행하려는 니즈가 생기는 이유는...

웨이브나 티빙의 별도 어플이 미박스 등 일부 셋톱 박스 안드로이드 버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나도 이런 이유로 코디 내부에서 웨이브와 티빙을 실행하고 있다)

 

코디에서 웨이브, 코디 애드온을 설치하는 것이...

과거에는 별도의 검색을 통해서 누구 블로그, 어떤 사이트를 통해서 찾아 

소스코드 zip 파일을 다운 받아 USB 에 넣고 코디에서 실행하여 설치해야 했으나...

 

이젠 너무 간단해졌다.

코디에서 웨이브나 티빙 애드온을 설치하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코디 전용 저장소를 다운 받아 USB에 넣어 코디에서 실행해 주고

그 저장소 안에 있는 애드온을 찾아서 설치해주면 된다.

(웨이브, 티빙, 넷플릭스, 왓차)

 

github.com/kym1088/wavveM-v18

 

 

위에 본인의 코디 버전에 맞춰서 저장소를 다운 받고 

코디에서 실행하면 저장소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다.

 

 

위에서 Korea OTT Package for Kodi 18 에 들어가서 웨이브, 티빙, 넷플리스 애드온(Add On)을 설치해주면...

 

아래와 같이 애드온에 뜨는데 이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애드온이 정리된다.

 

 

그럼 각 애드온에 본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고 실행하면 완료!

(당연히 각 계정 별로 시청 권한이 있어야 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