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너무 몰입하고 있다면?
일이 전부처럼 느껴지는 경우, 작은 피드백에도 흔들리는 경우, 회사 생각으로 머릿속이 가득 차는 경우
요즘처럼 일에 몰입하는 환경에서는 누구나 한 번쯤 겪는 일이다.
하지만 이게 자주 반복된다면, 업무 지속가능성에 대한 Risk가 생기게 되기에
감정적 과몰입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Harvard Business Review에서 관련한 좋은 Article을 발견해서 함께 공유코자 한다.
1. 피드백에 마음이 크게 흔들릴 때 → 감정 분리하기
상사의 말 한마디에 며칠 동안 기분 가라앉는 경우
동료의 말에 상처받고 반복해서 곱씹게 되는 상황이 되기도 한다.
→ 이는 피드백을 곧 ‘나 자신’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이는 상태
대응 방법: 감정과 정보를 분리해서 정리하기
- 피드백 그대로 적기
- 억울하거나 부당하다고 느낀 점 정리하기
- 그중 도움이 되는 피드백 골라보기
- 다음 행동이나 대응 방법 정리하기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통해 감정적으로 소모되지 않기
2. 퇴근 후에도 회사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 퇴근 루틴 만들기
저녁에도 일 생각으로 머리 복잡하고,
메일이나 메시지에 즉시 반응하려는 충동 생기는 경우
그리고 주말에도 일 관련 고민 반복하는 상태이다.
대응 방법: 퇴근을 위한 전환 의식 만들기
- 퇴근 알람 설정하기
- 장비 전원 완전히 끄기
- 다음 날 할 일 정리하고 종료 선언하기
나만의 퇴근 루틴 만들기를 통해 휴식의 시간 확보하기
3. 동료나 상사의 기분에 과도하게 반응하기 → 감정적 경계 세우기
타인의 기분에 따라 내 하루가 좌우되거나
도움 요청을 거절하지 못하고 내 일을 미루는 경우,
상대의 불편한 감정을 혼자 감당하게 되는 상황에 해당한다.
대응 방법: ‘감정 쓰레기통’이 되지 않기 위한 자기 점검하기
- 갈등을 피하고자 내 감정을 억누르지 않기
- 착한 사람으로 보이려는 강박 내려놓기
- 관계에서 무게중심 지키기
타인을 존중하면서도 나를 지키는 태도 확립하기
4. 직업이 곧 정체성처럼 여겨질 때 → 다양한 자아 정체성 만들기
직함이 곧 나 자신이라 여겨지거나, 성과에 따라 자존감이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면
혹은 일이 잘 안 풀리면 존재 자체가 무너지는 느낌 받는 상황이라면
현재 위와 같은 상황에 있다고 보면 된다.
대응 방법: 일 외의 정체성 키우기
- 취미나 새로운 배움 시작하기
- 봉사, 운동, 글쓰기 등 ‘나만의 활동’ 만들기
- 회사 밖에서도 성취감 얻을 수 있는 기회 만들기
여러 개의 자아를 통해 삶의 균형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까지 해서 네 가지 대응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일은 ‘내가 하는 일’이지, ‘내 존재 전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래서 몰입과 균형 사이에서 자신을 지켜내는 연습을 지속하고
나를 지키는 습관 만들기를 통해 진짜 커리어 완성하면 좋을 것 같다.
---
이렇게 Article을 요약했는데...
현실은 이미 난 저 4가지 상황에 빠져있는 것 같다. ㅜㅜ
'MBA - 경영자가 되기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재구축 기업을 위한 제품 중심 경영 전환 전략 (1) | 2025.04.06 |
---|---|
Thriving in Rapidly Changing Markets: The Strategic Role of Product Management and Process Innovation (0) | 2025.03.30 |
기업의 PI(Process Innovation) 방향 제언 (1) | 2025.03.29 |
일론 머스크의 CEO 론 (어떻게 6개 회사를 동시에 경영하시나요?) (0) | 2025.03.03 |
기준정보를 아시나요?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