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년 11월 25일 기준

전반적인 분석

쿠쿠홈시스의 주가는 2023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약 60% 하락한 후, 2023년 10월부터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25일 종가는 20,800원으로, 2023년 9월 27일 종가 대비 약 40% 상승한 상태입니다.

주요 지표

  • 5일선: 22,690원
  • 20일선: 28,823원
  • 60일선: 36,496원

추세선

  • 상승 추세선: 2023년 10월 12일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선

지지선

  • 20,800원: 2023년 9월 27일 저점

저항선

  • 22,690원: 5일선
  • 28,823원: 20일선

전망

쿠쿠홈시스의 주가는 현재 상승 추세에 있으며, 2023년 12월까지 22,690원과 28,823원 사이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4년에는 실적 개선이 예상되며, 주가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부 분석

  • 5일선과 20일선의 골든크로스: 2023년 10월 12일, 5일선과 20일선이 골든크로스를 형성하여 상승 추세가 시작되었습니다.
  • 20일선의 상승: 20일선은 2023년 10월 12일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 지지선의 역할: 쿠쿠홈시스의 주가는 2023년 9월 27일 저점인 20,800원을 지지선으로 삼고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주가가 20,800원 아래로 하락할 가능성은 낮음을 의미합니다.
  • 저항선의 역할: 쿠쿠홈시스의 주가는 2023년 10월 12일부터 22,690원과 28,823원 사이에서 등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가가 22,690원과 28,823원 사이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투자 전략

  • 단기 투자: 2023년 12월까지 22,690원과 28,823원 사이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단기 투자 시에는 22,690원 아래로 하락할 경우 매도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중장기 투자: 실적 개선이 예상되므로, 중장기 투자 시에는 28,823원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매수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보통 스타트업은 IT Product를 가지고 성장한다 

 

따라서 지표를 중심으로 관리해야 한다.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사업이 겉으로는 성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Cash가 부족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ex) 많은 제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돈을 잃고 있거나 / 생산성 유출이 발생하거나 / 가시성이 충분치 않아 좋은 기회를 놓치거나 / 문제를 너무 늦게 발견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거나

 

지표를 볼 때는 지표 그 자체보다 맥락을 읽어야 함

1. 전환율 3%이 나쁜지 좋은지 알 수 없다.

2. 다른 채널 전환율 1% 보다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그러나, 지난달 전환율이 5% 였다면 3%는 좋지 않다.

 

PV (Page View) - 페이지 조회 할 때마다 누적되는 카운팅 수

UV (Unique Visitors) - 특정기간 웹사이트에 방문한 순 방문자수(중복을 제거함)

DU (Duration Time) - 서비스 체류시간 / 웹이나 앱에 머무르 시간

Session - 쿠키 기반으로 아무 활동 없이 30분 경과시, 자정을 넘겨서 하루가 지난 경우, 유입 경로가 바뀐 경우 세션을 새로 수집함

 

 

Conversion Rate - 전환 / 앱이나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다음 행동으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

 

Active User - 활성 이용자 

- 근데 Active를 뭘로 정의할 것인가?

 

DAU - Daily Active User (한 사람이 여러번 Active 조건에 부합해도 1명으로 계산)

MAU - Monthly Active User

 

Stickiness - 활성화율 / DAU 대 MAU 비율

- DAU 대 MAU 1:5 는 월간 활성 사용자 5명 중 1명은 매일 우리 웹에 접속

 

Churn Rate - 이탈하는 고객 관리

- 이탈의 정의를 무엇으로 하는가가 중요함

 

Retention Rate - 일정 기간 고객을 유지하는 비율

 

GMV - Gross Merchandise Value (총 거래액)

- 일정기간 판매로 발생한 총 금액

- Revenue는 총총 GMV의 수수료 수준으로 작을 수도 있다.

 

Recurring Revenue (ARR / MRR) Annual / Month

ARR - 연간 반복 수입

MRR - 월간 반복 수입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 사용자당 평균 수익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유료 사용자당 평균 수익

- 돈을 실제로 지불한 사용자에게만 관심있는 경우

- 기업의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유저들이 얼마나 낼 의향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 ARPPU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가격선을 파악할 수 있음

 

ROAS(Return on Ad Spending) - 광고수익률

-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얼마나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광고수익률 = 매출 / 광고비 X 100%

 

 

Unit Economics - 공헌이익 or LTV : CAC

 

LTV(Life Time Value) - 고객평생가치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 고객 유치 비용

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흔히 아는 주식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위와 같은 주식을 팔고 투자를 받게되면...

스타트업의 대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을 보장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는데....

 

 

주식의 양도제한

- 일반적으로 스타트업의 대표는 투자자의 동의 없이 주식 양도가 불가함

- 투자 한 번 받으면 맘대로 못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 중요 의사결정은 투자자와 협의하에 진행해야 한다

- 예를 들면 자본의 증감, 주식 관련 사채의 발행

 

대표는 퇴사, 경업 등 못하게 된다

- 투자자는 비즈니스 모델과 대표를 보고 투자한거라서 마음대로 그만둘수 없다

 

우선매수권이나 동반매도권을 부여해야 한다.

 

위약벌 및 손해배상의 의무를 질 수도 있다.

- 아래와 같은 조항이 들어가면... 중요 계약사항 위반시에... 

- 위약벌은 어기면 자동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금전이고

- 손해배상은 투자자에게 별도로 지급해야 한다. (손해배상은 입증이 필요하다)

 

 

Burning Rate - 돈을 얼마나 태우는지

- 인건비로 1개월에 얼마? / 임차료로 1개월에 얼마? / 마케팅 비용이 1개월에 얼마?

- 고정비 + 변동비

 

Cash Runway - 가지고 있는 현금을 다 태울때까지 남은 기간
(Burning Rate 기준 or Net Burning Rate 모두 사용, 몇 개월 생존 가능)

 

Net Burning Rate - Cash in - out을 모두 계산하는 것

-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매출에서 나가는 cash를 계산

 

 

일반적인 투자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Angel / Pre-Seed - 초기 아이디어 단계

- 팀의 역량, 사업모델을 보고 투자하고 투자 규모는 1백~3천만원 수준임

- 흔히 3F가 투자 한다고 한다.

 

Seed - Pre Series A

- 최소한의 MVP 개발이며, 가설 검증을 거친 단계로 본다.

- 3천~3억원 수준 투자

- 엑셀러레이터나 엔젤투자 조합 등이 투자

 

Series A 

- 기관투자를 유치하는 단계 / 최소한의 의미있는 시작 단계

- 검증된 가설 기반으로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단계임

- 3억~100억 수준의 투자 

 

Series B

- 대부분의 검증이 끝난 단계 

- 성장 넘어 수익 실현하고 성공 궤도에 진입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음

 

 

투자 단계별로 해결해야 하는 이슈는 아래와 같음

 

 

반응형
반응형

22년 연간 기준 매출액 순이익률 43%에 달하는 코엔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 회사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을 주 업으로 하고 있다.

 

22년 기준 매출액 903억, 영업이익 484억, ROE 24% 수준으로 매우 양호한 실적을 보이고 있고

시가총액은 3,600억원 대 이다.

 

다만, 폐기물 처리업이니 법인 기준 안정적인 수익 확보는 가능하지만

커다란 매출 상승의 꿈을 꾸기는 어려울 것 같다. 

 

아래는 주봉 차트이다.

18년도에 13,350원을 찍고 우하향 중이며 

 

현재의 경제 상황이나 차트의 방향, 해당 법인의 매출 성장 가능성에 대한 그림을 보았을때...

 

 

 

글쎄... 

 

그냥 이번에는 한번 알아본 것으로 만족하련다.

반응형
반응형

요새 중국이 핫하다.

 

내가 아는 중국에 체류하는 한국인들 모두 코로나에 걸렸다.

 

코로나에 걸리는 이유는 명확하다.

 

정부의 통제 강도가 약해졌고 드디어 일어날 일이 일어난 것이기 때문이다.

(제대로 된 백신 접종률이 높지 않다던가... 위생 습관이라던가...)

 

아무튼 이런 암울한 소식에 움직이는 주식 종목들이 있으니

바로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를 주장하는 뉴스와 정체 모를 웹페이지들이다.

 

 

 

위를 보면 많은 검색 결과가 나오는데...

 

실제로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에 대한 관심은 아래와 같다.

 

이 정도면 중국에 대한 관심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심지어 수혜주라는 검색 키워드도 많지 않다...

그러면 이건 뭐다? 긴말은 않겠다.

아무튼, 이런 수혜주 잘못 건드는 일이 없으면 좋겠다.

 

 

지금까지 사람 심리에 기반한 구글 트랜드 검색이었고

 

이제 내가 아는 실물 매크로 펀더멘털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면,

중국이 리오프닝을 하면 어떻게 될까?

 

분명 중국경제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에 휩싸이게 될 것이다.

 

그동안 중국정부가 부동산 시장 유지한다고 지속적으로 M2 통화를 늘려왔고

기업대상 대출도 엄청 풀었기 때문이다.

 

돈이 많으니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다시 가계의 수입을 늘려주는 정책을 해야 할 것이고

뭔가 경기는 활성화 되는데 수입물가는 지속 상승하게 되며

내부에서는 농민공과 도시 임금근로자들의 실질 소득은 지속 감소할 것이다.

그리고 미국은 중국을 지속 견제한다.

 

미국이 계속해서 고금리를 유지하면 중국 내 환율이 지속하락하고

그러면서 중국 내 인플레이션은 증가하고 이를 중국 지도부가 흔들릴 때까지 계속 한다면?

 

결국 정치적 리스크가 모든 것을 말해주지 않을까?

 

단기적으로 중국경제 및 세계경제는 혼란 속에 상/하방 슈팅은 가능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누군가는 한발짝 물러설 때까지 계속 혼란스럽고

미국이 이기는 구조로 가려면 중국 경제를 한번 크게 눌러야 될 것 같다.

 

그러면 전 세계가 다시 혼란스러워 질 수 있는데

2차 산업/제조업을 나름 들고 있는 국가가 이를 어느정도 대체할 수 있을것 같다.

(아, 그래서 미국이 리쇼어링을 하는구나)

 

그런데, 한국도 어느정도는 수혜 받지 않을까?

반응형
반응형

대한민국 10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결과 

기준금리 2.50% 에서 3.00%로 50bp 인상하기로 했다.

 

이는 단순히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에 발맞춘 것 뿐만이 아니라

소비자 물가가 5~6%대의 고물가 상황이 나타나고 있어서 진행된 것이라는 메세지를 주었고

향후 3.5% 까지 올릴 수 있다는 암묵적 시그널을 준 것이다.

 

이제 자산 가격은 당분간 더 하락 할 수 밖에 없겠다...

심지어 금융의 시스템 리스크도 걱정해야하고...

 

하지만...

한편으로는 채권에서 기회가 있을 수도 있겠다.

반응형
반응형

이더리움에 대해 관심 갖는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내가 나중에 다시 이더리움 채굴을 셋팅할 때를 대비하여 

이 글을 남긴다.

 

먼저 나는 아래와 같은 글을 작성한 이후 

직접 암호화폐 시장에 뛰어들기로 했으나

직접 현금을 내고 암호화폐에 투자하기 보다는

당장의 큰 성취는 없더라도 안정적인 구조 셋팅에 우선순위를 두고

채굴이라는 방식으로 이더리움 투자에 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더리움을 채굴하기로 결정하게 된 이유는 크게 2가지 인데,

처음에는 비트코인에 채굴이라는 방식으로 진입하려고 했으나

비트코인에서 조금이라도 보이는 숫자로 채굴하기 위해서는 

범용성이 낮은 ASIC이라는 장비를 별도 구매해야 했고

상대적으로 이더리움은 일반적인 고사양의 그래픽 카드로 채굴이 가능했다.

 

또한, 비트코인은 블록체인으로 거래 내역 만 남는 블록체인임에 반해

이더리움은 해당 데이터 내에 계약서 등을 담을 수 있어

기술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더리움을 채굴하기로 결정했다.

 

사실 채굴을 하기로 판단하기 까지 몇단계의 고민이 더 있었다.

(수익성과 리스크 - 이 내용은 다른 글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아무튼 이더리움 채굴 투자를 결정한 후 내가 가장 먼저 한 것은 

채굴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구매한 것이었다.

(이더리움 지갑 주소 등은 미리 확보 했음을 전제로 이 글을 작성했다)

 

참고로 나는 Trustwallet 이라는 iOS용 App을 다운받아서

멀티 지갑 중 이더리움 주소를 확보 했다.

- 나중에 채굴이 되어 여기 주소로 이더리움이 들어오면

  여기로 들어온 이더리움을 업비트 등의 거래소 계정을 보낸 후

  한국 KRW로 매도해서 수익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당분간 매도할 계획은 없지만... 개념적으로)

 

1. 컴퓨터 구매하기

 

 

 

컴퓨터 구매에 대략 230만원 들었다. (맞추는 김에 램도 32GB로)

 

나는 램을 업그레이드 했지만,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그래픽 카드이다.(이미 다 아시겠지만만...)

 

하나씩 부품을 사서 조립하기보다는 그냥 컴퓨존에서 제안해준 대로 구매했다.

 

여기서 RTX 3070을 넘어서는 그래픽카드 그러니까 3080이나 3090으로 하려고 했으나

3백만원에서 4백만원으로 예산이 올라가서.. 걍 3070에서 만족하기로 했다.

(7월의 리스크도 있고 하니..)

 

 

2. 채굴풀(Mining Pool) 및 채굴 프로그램 찾기

 

구글과 유튜브를 검색해보니 아래 사이트와 아래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나온다.

그래서 많은 고민없이 아래 이더마인 사이트를 이용하기로 했다.

 

https://ethermine.org/

 

https://ethermine.org/

 

ethermine.org

 

위 사이트에 들어가서 바로 아래 왼쪽의 Start Mining 이라는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

 

 

 

 

 

 

여기에서 붉은색 동그라미를 친 Phoenix Miner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뜨는데,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2647654.0

PhoenixMiner 5.5c: fastest Ethereum/Ethash miner with lowest devfee (Win/Linux)

PhoenixMiner December 26, 2017, 07:14:26 AMLast edit: March 09, 2021, 04:44:47 PM by PhoenixMinerMerited by JFoxOne (6), suchmoon (5), sony87 (4), nc50lc (2), OgNasty (1), fr4nkthetank (1), dzyk (1), VoskCoin (1), Branko (1), UnclWish (1), DireWolfM14 (1),

bitcointalk.org

 

 

아래를 주욱 내리다가 Quick Start 부분에서 깃허브 링크를 클릭하여 

채굴 프로그램을 다운 받자

 

 

 

 

 

 

 

참고로, 채굴 프로그램을 다운 받다 보면 다운로드가 안된다고 나오는데

다운로드 메뉴에 들어가서 무시하고 다운 받는다고 해주면 정상적으로 진행 가능하다

 

 

 

 

 

3. 채굴 프로그램 셋팅하기

 

이제 채굴 프로그램을 다운받았으니 셋팅 후 실행하면 된다. 그런데.. 어떻게?

 

다운 받은 압축파일을 풀면 Readme.txt 파일이 있는데 

이걸 열어서 아래 노란색으로 칠한 부분을 복사하고(Ctrl+C)

 

 

 

 

 

같은 폴더 내에서 별도의 text 파일을 만들어서 복사한 내역을 붙여준다(Ctrl+V)

- 예를 들어 Test.txt 이런 것도 가능하다

 

 

이미 Copy&Paste 한 내용 만 보면 대충 알겠지만

PhonnixMiner.exe를 실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주기 위한 내용들이다.

 

그러니 서버 주소를 아시아 서버로 바꾸고 Port 부분을 4444 --> 14444 로 바꾼다음

YourEtheWalletAddress.WorkerName 부분을

본인의 이더리움 지갑 주소를 입력하자.

 

아시아 서버 주소는 이더마인 사이트에서 처음 Start Mining을 클릭했을 때 바로 나오는

아시아 서버 주소이다.

 

 

 

 

그런다음 아래와 같이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보기에 들어가 파일 확장명 보기를 선택한 다음

 

이번에 생성한 Text 파일을 Bat 파일로 확장자를 바꿔준다.

 

 

 

 

 

그리고 나서 해당 Bat (이걸 오토배치 파일이라고 한다) 파일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코멘드 라인이 나오는데,

이게 정상적으로 채굴이 진행 중인 내용이다.

 

 

 

보면 대략 GPU (그래픽 카드) 가 전기를 120 W 정도 사용하고 있고

해쉬 파워는 48~49 수준이다.

(이건 3070 그래픽 카드에서 최적화가 되기 전 수준이고

 제대로 최적화를 하면 59~62 정도가 나와야 한다)

 

이렇게... 채굴이 진행되고 나면 이더파인 사이트에서

내 지갑주소(아까 bat 파일에서 입력한 지갑주소)를 치면

아래 내용과 같이 채굴이 진행되는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아래 위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셋팅 값에 따라서 해쉬 속도가 달라진다.

 

50과 60은 무려 20%의 차이이다. 

 

 

 

 

참고로 아래와 같이 setting에 들어가면

관리자 이메일 주소를 넣어 이슈가 발생하면 연락을 받을 수 있고

얼마나 채굴이되면 내 이더리움 지갑으로 보낼지 정할 수 있는데..

 

나처럼 일반 PC 1대로 진행하는 경우는 무조건 아래 색칠한 부분에 해당 될 것 같다.

0.1ETH 이상 모으면 24시간에 한번씩 체크해서 내 지갑으로 보내주는데

14일 동안 0.01ETH 이상 모으거나 7일 동안 0.05ETH 모으면 지갑으로 보내준다고 한다. ㅜㅜ

 

그러니까 위에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듯 3일 간 모은 0.00718ETH는

적어도 20일은 채굴해야 한 번 정도 0.05ETH를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ㅜㅜ

 

 

 

 

 

그러면 수익은?

 

1 ETH가 200만원이라고 퉁치면 0.05는 10만원이 된다.

1개월에 0.7 EHT 정도를 채굴한다면

대략 15만원 정도의 가치를 확보할 수 있고.

 

전기 요금이 한 3~4만원 더 나온다면 월 10만원 정도의 수익이 가능할 것 같다.

(이러면 Pay back 20개월이 된다 ㅜㅜ)

 

다만 위의 내용은 아직 해시 파워 등이 제대로 셋팅되기 전 모델이니

제대로 셋팅된다면 월 15~20만원 정도의 수익이 가능할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아래는 어떤 사람이 제시한 자신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내용이다.

 

 

1. 국내주식계좌 (중단기 매매용, 수익보면 수시로 종목 바뀜)

    비중 10%

 

2. 국내장기투자계좌 (팔지 않고 모아가는 계좌)

  - 삼성전자 / KODEX200 TR 등을 모은다고 함

   비중 10%

 

3. ISA 중개형 계좌 (배당세금면제용으로 사용중)

 - 맥쿼리인프라 등을 모은다고 함

   비중 5%

 

4. 연금저축계좌 (60세까지 비율 맞춰가면서 모아갈 계좌 , 노후대비용)

 - KINDEX 미국S&P500  / KINDEX 나스닥100 / KOSEF 인도NIFTY50(합성)

 - KODEX 골드선물(H) /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 TIGER 미국채10년선물 등을 모은다고 함

  비중 50%

 

5. 미국배당주식계좌 (배당받은건 재투자)

 - SPHD / PEY / SCHD

  비중 25%

 

내 생각에 컨셉에 맞춰 계좌를 분리한 것이나

컨셉을 단기, 장기  /  국내, 해외 등으로 잘 구분한 내용을 참고할 만하여

여기로 가져와 봤다.

 - 물론 세부 주식 종목 선정 내용은 일부 동의안하는 부분도 있다.

   (절대로 아래 주식 종목을 무작정 추종하여 매수하지 말기를 부탁 드린다)

 

특히 아래 계좌 중에 ISA 계좌는 별도로 연구할 가치가 있는 내용으로

나중에 시간될 때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