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테슬라 Model 3 롱레인지 모델이 hot 한 관계로 

많은 분들이 구매 계약을 체결한채 차량인도를 기다리고 있다.

 

실제로 21년 7월 20일 기준으로

2월에 Model 3 롱레인지 및 Model Y 롱레인지를 계약한 분들 중

차량인도를 위한 사전 단계인 설문조사 연락 조차도 받지 못한 분들도 많다.

 

그래서 필자를 비롯한 많은 분들이

렌트카 업체를 통해 계약 후 인수를 전제로 한 장기렌트를 추진하고 있는데...

 

필자의 경우도 계약서를 통해 어느정도 인지는 하고 있었지만

직접 차량 인수 후 담당자 구두확인을 통해 전손 시 발생하는 Risk 규모를 확인하고

이거 문제 없을까? 하고 고민한 부분이 있다.

 

장기렌트 계약을 보면 계약기간 못채우고 해지를 하는 경우

위약금을 물게되어 있는데...

 

대략 조건은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48개월, 월 100만원에 장기렌트 계약을 하고

23개월차에 전손에 해당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계약이 강제 해지되는 경우

 

자차 면책금 = 50만원

23개월 X 100만원 = 2,300만원

25개월 X 100만원 X 49% = 1,225만원  

 

이렇게 하여 총 3,575만원을 날리게 되는 것이다.

 

물론 23개월은 내가 렌트라는 대가로 사용한 비용이니

23개월에 해당하는 2,300만원은 빼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겠으나

그것을 빼더라도 1,275만원이 쌩돈으로 날라가는 것이고

 

또 차량 구매를 목적으로 빠른 인도를 위해 장기렌트를 한 것이니

2,300만원도 차량 구매를 위한 금액에 포함된다고 봄이 상당할 것 같다.

(만약 구매했다면 보험사로부터 받는 전손 금액을 다 받아서 

 다른 차량을 구매하거나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기차는 사고 발생 시 생각보다 전손 처리를 받을 가능성도 높은 것도 고민해야 한다.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금액 가치 중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꽤 커서

 

인터넷 검색 중에 자유로에서 판스프링을 밟아 배터리가 손상되었는데

배터리 교체 비용이 2,000만원 나왔다는 내용도 찾을 수 있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car/16141182

 

테슬라 모델3 사고사례 (낙하물에 하부손상, 배터리 교체) : 클리앙

안녕하세요? 예전에 굴당에 인증글 올리고 테슬라 잘 타고 다니던 모델3 차주입니다. 정말 비극과도 같은 사고가 발생해서 전기차 차주님들께 주의의 말씀을 드리고 후에 사고가 나신 다른 차주

www.clien.net

 

이런 내용들을 볼 때 장기렌트를 고민 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뜻하지 않은 사고에 대한 고려까지 모두 마친 후에야

계약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물론 나는 그냥 장기렌트 차량을 인수 받았다 ㅎㅎ)

 

반응형
반응형

21년 5월 기준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관련

민간 승용 기준 신청 현황은 총 지원 규모 5,067대 중 4,263대로

진척률이 84% 수준인 바

 

올해에는 더이상 전기차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아래와 같이 추가 경정 예산이 올라와 하반기에도 전기차 구매에 대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다만, 지원 규모가 1대당 200만원씩 감소했는데...(400만원 --> 200만원)

이는 서울 시장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봐야 하는지 혼란스럽다.

 

실제로 방역 체계도 우려가 되는 상황인데

일상의 많은 부분이 조금씩 변하는 것은 아닌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