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집과 왓챠 모두 한때

매우 높은 가치를 인정 받았던 스타트업 기업인데...

 

22년 하반기부터 경기가 어려워 지면서 

아래와 같이 많은 업체들이 힘들어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외부 환경은 사실 오늘의 집이나 왓챠 모두 다르지 않을 것 같기도 한데...

 

최근 이 두 업체의 상황이 많이 다르다고 한다.

 

왜 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왓챠에 대한 설명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 왓챠는 원래 영화 리뷰 및 추천 사이트로 시작했고

지금은 OTT 를 본업으로 추진 중이다.

 

그리고 오늘의 집은...

 

 

 

셀프 인테리어 공유 서비스로 시작했고 많은 개인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자기들의 셀프 인테리어를 공유하는 가운데 

반응이 좋은 인테리어 소품 / 가구 등을 e-commerce 하는 회사로 진화했다.

(약간 무신사랑 비슷한데?)

 

이 회사들은 일부 비슷하고, 일부 다른 모델을 가지고 있는데,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 

 

오늘의 집이 매출 1,200억으로 왓챠 대비 2배 크고, 영업이익 적자도 -400억으로

왓챠 대비 2배이다.

 

근데, 이상한 것은... 기업가치... 왜 왓챠의 기업가치는 3천억인데...

오늘의 집은 기업가치가 무려 2조원이나 될까?

 

 

사실 이것은 이 두 회사의 재무재표를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왓챠의 재무재표이다.

아래를 천천히 보면 금방 이해하겠지만...

간단히 정리하자면, OTT를 하다보니 컨텐츠를 소싱하는 비용이 상당히 크고

그 비용 때문에 매출액이 증가해도 영업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컨텐츠 소싱에 먼저 현금을 지출해야 해서...

현금이 부족한 사업 구조를 보이고 있다.

(심지어 투자활동 현금흐름 이라고 포장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에는

 영업활동 현금 흐름이 적자이다)

 

 

 

 

그러면 오늘의 집은 어떠한가?

먼저 오늘의 집에 대해 좀 더 깊은 이해를 하기 위해서...

이 회사가 어떻게 성장 했는지를 보도록 하자.

 

 

 
위에서 보았듯
 
오늘의 집은 빠른 성장과 함께 적자 규모도 확대 되고 있는데...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듯,
 
기업가치가 높을 수 밖에 없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는 지속적인 양의(Positive) 현금흐름 
(사실, e-commerce를 포한한 대부분의 유통회사는 소비자에게 먼저 대금을 받고
 나중에 정산을 하기 때문에 매출이 성장하는 한 항상 현금이 쌓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두번째는 컨텐츠 소싱 비용
아까 왓챠에서는 돈을 주고 OTT를 운영하기 위한 영화/드라마 판권을 구매해 왔으나
오늘의 집에서는 고객님들이 알아서 커뮤니티에 다양한 인테리어 사례를 업로드 해준다.
 

 

 

 

 

자자...

이 정도만 보아도 감이 오지 않는가?

 

우리는 여기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데...

사업을 논하자면... 매출의 성장, 커다란 매출 규모의 달성은 

너무 당연한 것이고...

 

진짜 중요한 것으로...

결국 비용 구조를 어떻게 가져가는지, 

그리고 현금 창출 구조에서 어떻게 우위를 가져가는지가

사업의 핵심이 되는 것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왜 드라이버는 Show 이지만, 퍼터는 Money라고 하지 않는가!

쇼도 중요하지만 실제 숫자는 어프로치와 퍼터에 달렸다!!!

(근데 쇼를 못하면 애초에 앞으로 제대로 가지도 못한다 ㅎㅎ)

 

 

 

 

 

 

 

 

 

 

 

 

 

반응형
반응형

1 . 드림팜 - www.dreampf.net  

 

주식회사 드림팜

스마트팜 큐브로 만드는 최고의 농업 환경, 주식회사 드림팜 홈페이지입니다.

dreampf.net

 

2. 마이띵스 - www.mythings.co.kr  

 

마이띵스 | mythings

세상의 모든 가치를 연결하는 단 하나의 플랫폼

www.mythings.co.kr:443

 

3. 미드바르 - www.midbar.kr  

 

Midbar – Bloom the Desert

Midbar Corporation 1. Regulatory Special Zone, Period – Special Activities Zone: Gyeongbuk Industrial Hemp Regulatory Free Zone ※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Notice No. 2022-Gyeongbuk-27 – Period of Special Cases: December 1, 2022 to November 30, 2

midbar.kr

 

4. 컬티랩스 - www.cultilabs.com  

 

컬티랩스

쉽고 가치 있는 솔루션 컬티랩스의 솔루션은 재배자 뿐만 아니라, 경영주, 컨설턴트, 유통업체, 농업기술 지도 관련기관 및 연구개발 등 농업 생태계 모든 종사자들에게 완전한 통찰력을 얻을

www.cultilabs.com

 

5. 그린 - www.griin.co  

 

HOME | Griin New site

2022년 10월 31일 오전 3:00:00 [인터뷰] 그린 권기표 대표, 수직 수경재배 주목∙∙∙고부가가치 농산물 재배∙유통 수직 수경재배, 좁은 공간에서 수확 가능∙∙∙유지보수 난이도∙인건비↓ 그린

www.griin.co

반응형
반응형

보통 스타트업은 IT Product를 가지고 성장한다 

 

따라서 지표를 중심으로 관리해야 한다.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사업이 겉으로는 성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Cash가 부족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ex) 많은 제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돈을 잃고 있거나 / 생산성 유출이 발생하거나 / 가시성이 충분치 않아 좋은 기회를 놓치거나 / 문제를 너무 늦게 발견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거나

 

지표를 볼 때는 지표 그 자체보다 맥락을 읽어야 함

1. 전환율 3%이 나쁜지 좋은지 알 수 없다.

2. 다른 채널 전환율 1% 보다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그러나, 지난달 전환율이 5% 였다면 3%는 좋지 않다.

 

PV (Page View) - 페이지 조회 할 때마다 누적되는 카운팅 수

UV (Unique Visitors) - 특정기간 웹사이트에 방문한 순 방문자수(중복을 제거함)

DU (Duration Time) - 서비스 체류시간 / 웹이나 앱에 머무르 시간

Session - 쿠키 기반으로 아무 활동 없이 30분 경과시, 자정을 넘겨서 하루가 지난 경우, 유입 경로가 바뀐 경우 세션을 새로 수집함

 

 

Conversion Rate - 전환 / 앱이나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다음 행동으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

 

Active User - 활성 이용자 

- 근데 Active를 뭘로 정의할 것인가?

 

DAU - Daily Active User (한 사람이 여러번 Active 조건에 부합해도 1명으로 계산)

MAU - Monthly Active User

 

Stickiness - 활성화율 / DAU 대 MAU 비율

- DAU 대 MAU 1:5 는 월간 활성 사용자 5명 중 1명은 매일 우리 웹에 접속

 

Churn Rate - 이탈하는 고객 관리

- 이탈의 정의를 무엇으로 하는가가 중요함

 

Retention Rate - 일정 기간 고객을 유지하는 비율

 

GMV - Gross Merchandise Value (총 거래액)

- 일정기간 판매로 발생한 총 금액

- Revenue는 총총 GMV의 수수료 수준으로 작을 수도 있다.

 

Recurring Revenue (ARR / MRR) Annual / Month

ARR - 연간 반복 수입

MRR - 월간 반복 수입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 사용자당 평균 수익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유료 사용자당 평균 수익

- 돈을 실제로 지불한 사용자에게만 관심있는 경우

- 기업의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유저들이 얼마나 낼 의향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 ARPPU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가격선을 파악할 수 있음

 

ROAS(Return on Ad Spending) - 광고수익률

-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얼마나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광고수익률 = 매출 / 광고비 X 100%

 

 

Unit Economics - 공헌이익 or LTV : CAC

 

LTV(Life Time Value) - 고객평생가치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 고객 유치 비용

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흔히 아는 주식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위와 같은 주식을 팔고 투자를 받게되면...

스타트업의 대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을 보장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는데....

 

 

주식의 양도제한

- 일반적으로 스타트업의 대표는 투자자의 동의 없이 주식 양도가 불가함

- 투자 한 번 받으면 맘대로 못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경영사항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 중요 의사결정은 투자자와 협의하에 진행해야 한다

- 예를 들면 자본의 증감, 주식 관련 사채의 발행

 

대표는 퇴사, 경업 등 못하게 된다

- 투자자는 비즈니스 모델과 대표를 보고 투자한거라서 마음대로 그만둘수 없다

 

우선매수권이나 동반매도권을 부여해야 한다.

 

위약벌 및 손해배상의 의무를 질 수도 있다.

- 아래와 같은 조항이 들어가면... 중요 계약사항 위반시에... 

- 위약벌은 어기면 자동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금전이고

- 손해배상은 투자자에게 별도로 지급해야 한다. (손해배상은 입증이 필요하다)

 

 

Burning Rate - 돈을 얼마나 태우는지

- 인건비로 1개월에 얼마? / 임차료로 1개월에 얼마? / 마케팅 비용이 1개월에 얼마?

- 고정비 + 변동비

 

Cash Runway - 가지고 있는 현금을 다 태울때까지 남은 기간
(Burning Rate 기준 or Net Burning Rate 모두 사용, 몇 개월 생존 가능)

 

Net Burning Rate - Cash in - out을 모두 계산하는 것

-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매출에서 나가는 cash를 계산

 

 

일반적인 투자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Angel / Pre-Seed - 초기 아이디어 단계

- 팀의 역량, 사업모델을 보고 투자하고 투자 규모는 1백~3천만원 수준임

- 흔히 3F가 투자 한다고 한다.

 

Seed - Pre Series A

- 최소한의 MVP 개발이며, 가설 검증을 거친 단계로 본다.

- 3천~3억원 수준 투자

- 엑셀러레이터나 엔젤투자 조합 등이 투자

 

Series A 

- 기관투자를 유치하는 단계 / 최소한의 의미있는 시작 단계

- 검증된 가설 기반으로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단계임

- 3억~100억 수준의 투자 

 

Series B

- 대부분의 검증이 끝난 단계 

- 성장 넘어 수익 실현하고 성공 궤도에 진입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음

 

 

투자 단계별로 해결해야 하는 이슈는 아래와 같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