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맥과 윈도우를 집에서 동시에 사용하다 보니 하나의 키보드와 마우스로 2개의 컴퓨터를 동시에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2.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synergy라는 어플을 사용하거나 로지텍사의 flow 를 지원하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매하는 방법이 나오는데 이제 Synergy도 제대로 쓰려면 유료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3. 그래서 Barrier라는 어플을 찾아 github에 들어갔는데.. 얼라? 아래와 같이 나온다.
4.
![](https://blog.kakaocdn.net/dn/3KgGM/btsKwrfdM5p/NGagfWj7n5eaiuwfhWBNRK/img.png)
5. 음.. Barrier는 일단 건너뛰고 위에 나온대로 InputLeap Project를 설치하기로 했다.
6. 다운받아 설치하려고 보니 어? Barrier 그대로 인가?
7.
![](https://blog.kakaocdn.net/dn/2CJca/btsKyk6Gl3s/jiyFoXFPer4BFUtbUpqXtk/img.png)
8. 아무튼 InputLead 를 설치는 하였지만, 로컬 네트워크에서 서로의 컴퓨터를 인식하고 연결되지는 않았다. ㅜㅜ
9. 어.. 뭐지? 로그상에도 특별한 내용이 없어서 이슈를 찾을 수 없다.
10. 그 와중에... 어 내 키보드랑 마우스가 Logitech 인데? 그러면 나도 검색에서 나오는 Flow 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는 생각이 들어 Logitech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아래와 같은 설명이 나온다.
11.
![](https://blog.kakaocdn.net/dn/lY0fi/btsKxsD94YQ/rk328ItFllYuKDEykHksS1/img.png)
12. 그래서 Logitech 사이트에서 option+ 라는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회원가입하고 내 마우스도 등록했다.
14. 그런데, 아래와 같이 나오고 Flow 메뉴 따위는 보이지 않는다.
15.
![](https://blog.kakaocdn.net/dn/cEo4WY/btsKwipiwIX/McGjgNuBjCgP8UleD6r6Kk/img.png)
16. Flow를 지원하는 별도의 Logitech 기기가 있다더니 그게 이 말이었나?
17. 일단 안되는 것이니 포기하고...
18. 그래서 다시 돌고 돌아 예전의 강자였던 Synergy를 설치하기로 마음먹고 symless.com/synergy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려고 봤더니..
19.
![](https://blog.kakaocdn.net/dn/cwv0rk/btsKyDdRl1U/JwFULERibk1vN6eeogXhjk/img.png)
20. 헛 29딸라. 유료화 되었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무료로 일부 기능을 지원해주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설치하려면 key 값을 입력해야 하는 구조이다.
21. Synergy 무료 버전 없나? 하고 조금 검색해서 찾아보니... 이런 글이 나온다.
22.
![](https://blog.kakaocdn.net/dn/KRWYP/btsKxvgDVYf/KTz3FuAmBkGQKj8HjvnKC0/img.png)
23. 간단히 말해서 Free 소프트웨어라는 말은 자유롭게(FREE) 수정 가능토록 프로그램의 코드(Code)가 공개되어 있다는 말이지 공짜(FREE)가 아니라는 말이다.
24.
![](https://blog.kakaocdn.net/dn/rdtkQ/btsKxw0TwMm/nueMSVJO6dxbIJMxL35H1K/img.png)
25. 그리고 아쉬우면 니가 직접 컴파일해서 사용하라는 말도 있다.
26. 그렇군... 그래서 더 검색을 해보니 아까 처음에 봤던 Barrier가 Synergy 소스코드를 이용해서 전문가들이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다시 Barrier를 깔아볼까?
27. 그래서 결국 Barrier를 깔았다.
28.
![](https://blog.kakaocdn.net/dn/b0seIe/btsKypNGOZW/kXr35FjoYVkI0rpKlZIVpk/img.png)
29. 그리고 아래와 같이 잘 인식하며 하나의 키보드로 잘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30.
![](https://blog.kakaocdn.net/dn/rY96t/btsKw7tp3FQ/Kdfd4woaKBoxpWU7W5jE51/img.png)
3줄 요약
1. 같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키보드/마우스를 사용하여 여러 컴퓨터를 제어하려고 프로그램을 알아봤다.
2. Synergy라는 프로그램이 예전에 무료이고 가장 쓸만했는데, 이제 유료화 되었고 대안으로 Synergy의 소스코드를 이용한 Barrier와 InputLeap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고, 로지텍 Option+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3. 근데 로지텍 프로그램은 거기에 맞는 마우스를 구매해야 하고 InputLeap은 어떤 이유에선지 내 컴퓨터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다만 다행히도 Barrier는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컴퓨터 및 인터넷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디펜더 보안 해제 하기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0) | 2024.11.28 |
---|---|
Kodi 내부 네트워크(SMB) 연결 안될 때 (0) | 2024.03.09 |
습관적으로 다니는 절, 교회, 직장, 학교, 동호회... 혹시 생각해본적 있는지 (1) | 2024.03.03 |
스팀 버전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Bateman Arkham Asylum) 에서 듀얼쇼크 인식 안될 때 대처법(How to fix DualShock controller not detected in Steam version of Batman Arkham Asylum) (0) | 2023.11.12 |
토렌트 검색하다가 '유사이미지' '마그넷 링크' 라는 단어를 본다면... (0) | 202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