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OpenAI사의 ChatGPT를 사용하려다 보니

아래와 같이 다양한 모델이 나오는데,

 

 

나같이 ChatGPT의 단순한 기능만 사용하며는 소프트 유저 입장에서는

뭔 말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간단히 찾아서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나중에 잊어버리면 다시 찾아보고자 한다. ㅜㅜ

 

특징 4o o1
모델 사용의 주요 목적 다목적 모델 (텍스트 생성, 번역, 요약 등) 복잡한 추론 및 특수 분야 영역에 사용
지원하는 포맷
(입력을 받는 포맷)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텍스트 전용
추론 수준 일반적인 수준 높은 논리적 추론 및 복잡한 문제 해결 가능
속도 상대적으로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연산 수준 상대적으로 낮은 연산 필요 더 많은 연산 필요
출시 시점 2024년 5월 2024년 9월

 

위와 같은 비교를 통해 보면 아무래도 새로 나온 모델이 더 정확하고 유용하지 않을까 싶어

 

내가 궁금한 것들은 o1을 통해서 물어보면 되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지원하는 포맷이 4o가 더 다양하다 보니 그때그때 모델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긴하다.

 

반응형
반응형

 어제 레노버 X1 카본 6세대 노트북의 배터리를 아래와 같이 추가 구매하여 교체했다.

제목에는 5세대라고 나와 있는데, 5세대와 6세대의 배터리가 같은 사이즈이다.

아무튼 나는 약 4만원을 지출하여 추가 배터리를 구매했고

중국에서 직구하는 제품을 받는 거라 도착하는데 약 1주일 정도 걸렸다.

 

 

 

받은 제품의 케이스를 벗겼을 때 위와 같은 모습이었고,

나는 배터리의 Spec 번호 등을 확인한 후 제대로 온 제품임을 확신하고 노트북 케이스를 아래와 같이 분해했다.

 

 

위에서 나사를 제거할 부분은 동그라미로 표시한 네 곳이며 V 형태로 체크한 곳에서 고정을 시키고 있기 때문에 12시 방향으로 밀면서 들어 올려야 한다.

 

아참, 이건 말 안해도 알겠지만 배터리를 감싸는 케이블은 끊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배터리를 탈거하면 위와 같은 모습이 나타나는데

당황하지 말고 이번에 도착한 4만원짜리 배터리를 재장착하면 끝!! 

반응형
반응형

요새 AI가 언론에 많이 노출되면서 핫하다.

 

특히 Meta에서 Llama 모델을 개발하고 공개했다는 뉴스가 나온 후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AI를 구현할 수 있겠구나는 생각이 들기 시작해

 

여기에 대해 조금 검색해보니 Meta가 공개한 AI를 활용한 Ollama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고

이를 활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쉽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있다는 것을 알게되어

이를 활용하여 내 컴퓨터에 AI를 구축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Ollama는 Open Source Large Language Medel Meta AI) 

 

먼저, Ollama를 내 컴퓨터에 다운 받아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윈도우 / macOS 등에서 설치하기
    • Ollama GitHub 공식 페이지 접속 (https://github.com/ollama/ollama)
    • 처음에 뭔가 폴더 같은 내용이 나와도 당황하지 말고 아래로 스크롤 다운
    • 그러면 아래의 그림을 찾을 수 있는데, 거기서 자기 운영 체제에 맞춰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끝 

 

생각보다 설치하기 쉽다.

 

그리고 실행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되는데,

 

내가 사용하는 macOS 기준으로 먼저 이야기 하자면

 

아래와 같이 터미널로 접속해서 ollama를 치면 사용방법이 나오는데, 

 

예를 들면 ollama -h 는 ollama의 사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내용을 보겠다는 내용이고

 

ollama list 는 내가 현재 다운 받아놓은 LLM 모델 리스트를 보겠다는 내용이다.

 

 

 

자... 그럼 Ollama를 실행하는 법을 알았으니 진짜 실행할 LLM 모델을 다운받아야 하는데... 

 

LLM 모델을 다운받으려면 https://ollama.com/library 사이트로 가자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여기서 설명을 쭉 읽어보고 본인에게 맞는 모델을 다운받고 난 후 

 

모델을 다운 받아놓은 폴더에 들어가서 "ollama run 해당모델" 식으로 실행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캐논 복합기를 하나 구매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복합기가 캐논(canon)사에서 만든 제품이라, 

 

이번에 구매할 때도 자연스럽게 캐논을 가장 먼저 고려하게 되었는데,

 

이 복합기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무슨 복합기가 이렇게 가격도 다양하고 비교할 것도 많은지를 느꼈던 바

다른 분들은 내가 받았던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줄이시라고 다음과 같이 포스팅 한다.

 

 

 

 

잉크젯을 고민하시는 분들이라면... 위의 그림 만으로도 상당히 안도감을 느낄 것 같다.

 

가장 왼쪽에 있고 그 다음 잉크 종류인데... 뭐 이거는 가정용/개인용으로 사용한다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 같다.

다만, 안료와 염료의 차이가 궁금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하자면

" 염료는 섬유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깔끔하고 부드러운 색상을 내는 반면, 안료는 표면에 고착되어 더 불투명하고 내구성 있는 색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인쇄속도인데, 비싼게 빠르다! 이렇게만 생각하면 되고~

소량 출력하는 사람들은 그런거 잘 안따져도 된다.

 

최대 용지의 경우 거거 익선이긴한데, 이것도 일반적인 용도이면 A4이면 충분하고,

인쇄는 원래 목적이니 그렇고... 복사/스캔/팩스가 궁금한 분은 없을 것 같고..

 

그 다음으로 ADF라는 단어와 자동양면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먼저 자동양면이라고 하는 건 자동으로 양면인쇄가 되는 것을 이야기하고

ADF는 Automatic Document Feeder라는 이름의 약어로 영어 뜻 그대로

자동으로 서류를 넣어주는 기능이라고 보면된다. 

 

이 기능은 여러장 복사 또는 여러장 스캔하려는 목적을 가진 사람에는 무조건 필요한 옵션이다.

 

그리고 급지 방식에서 후면이라고만 되어 있는 것은 출력할 흰 종이를 뒤에 놔두고 급지를 시킨다는 뜻인데, 이건... 오래 두면 종이가 중력 영향으로 영구적으로 휘는 등의 문제가 있으니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면 된다.

 

나는 개인적으로 전면 급지가 안정적이라고 본다.

 

그리고 연결 방식은 말 그대로 컴퓨터 등 제품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인터페이스 옵션을 보여주는 것이고 air print, Mac OS 등은 아이폰이나 맥북 등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옵션이다.

 

자... 이렇게 고려할 부분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내 개인적으로 볼 때 사실 가장 중요한 내용이 위의 그림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

 

그것은 정품 무한 잉크가 지원되는지 이다.

요새는 무한 잉크가 기본이긴 한데, 과거 대부분의 프린터 판매 업체가 사제로 달아놓은 것이라서

안정성이 낮거나 잉크가 마르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당연히 사제로 달아놓은게 가격도 싸고 잘 관리하면 좋은데, 

문제는 사용 안하다가 급하게 필요할 때 출력이 안되는 등 상황이 발생한다 ㅜㅜ;

 

그래서 필자는 결국 어떤 복합기로 구매했나고?

 

아래 그림의 G7090으로 구매했다.

 

온라인 주문해서 택배로 받고 설명서에 있는대로 스티커 뜯어주고

잉크를 투입하면 끝!

 

 

 

 

 

 

 

반응형
반응형

시놀로지로 NAS와 함께 웹서버를 운영하는 많은 분들이

HTTPS 보안 접속을 위해 SSL 인증서를 이용하고 있을 것이고 

이 중 대부분이 무료라는 강점을 가지고 있는 

Let's Encrypt (A.K.A LETS 또는 레츠 인증서)를 이용하고 있을 것이다.

 

 

이 인증서는 편한게 시놀로지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아주 간단하게 연장이 가능한데

(90일에 한번씩 이라서 귀찮기는 하지면... )

 

 

아래와 같은 부분을 사전에 조치해 놓아야 문제없이 갱신이 가능하다.

 

1. 80번 포트를 열어서 시놀로지 웹서버와 연결 시켜 놓을 것

 

2. 방화벽에서 국가차단을 풀어 놓을 것

(갱신 후에는 바로 막아 놔야 한다)

 

웹서버를 운영하는 많은 분들이 경험하겠지만...  

접속 로그를 확인하다보면, 

다양한 국가에서 불순한 의도를 가진 것으로 의심되는 많은 접속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러시아, 중국, 터키 등에서 들어오는 접속 시도는 괜한 무서움을 불러일으키는데

그래서 나같은 새가슴은 아래와 같이 일부 포트를 제외하고는 그냥 해외접속을 막아 놓는데,

이게 인증서 갱신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시놀로지 포토를 잘 사용하고 있는데, 

 

핸드폰에서 백업하다가 갑자기 용량이 부족하다고 백업이 되지 않는다. ㅜㅜ

 

 

어! 분명히 시놀로지에 하드 용량 충분한데?

 

뭔가가 이상한데? 하면서 검색을 하다보니...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분들이 계신데

답글 등을 보아도 뭔가 답이 시원치 않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6443577

 

시놀로지 포토 용량부족 : 클리앙

안녕하세요 이번에 220j들인 초초초초초보입니다. 어제 셋팅하고 제일 처음으로 휴대폰 사진을 백업하고 있는대요 시놀로지에 포토모바일을 통해서 업로딩걸어놓고 자고 일어나니 볼륨에 용량

www.clien.net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8544436

 

최근 Photos Mobile 업데이트 하면서 백업의 무한 루프에 빠졌습니다 ㅠ : 클리앙

제목 그대로 최근 1/12일 경에 제 아이폰에 있는 Photos Mobile 앱 업데이트를 진행했는데, 기존에 백업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폰에 있는 사진을 다시 감지하고 백업을 진행하는 절차를 계속

www.clien.net

 

이런식으로 검색을하다가... 문득,,

시놀로지 말고 핸드폰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것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핸드폰 저장공간이 아직 30GB나 남았는데? 하면서... 혹시나 하여 용량 큰 동영상 몇개를 지우고 나니...

 

어? 다시 백업이 된다...

 

아~ 문제는 핸드폰에 저장공간이 충분치 않아서였구나....

 

 

그래서 내가 해결한 방법은 핸드폰 저장공간을 확보한다!! 이다.

 

(사실 맥북 같은 경우도 과거 타이거 시절 저장 공간이 매우 부족하면 부팅이 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지금은 그렇게 까지 하드를 다 써보지 않아서 모른다 ㅠㅠ)

 

반응형
반응형

코디 (Kodi) 가 갑자기 먹통이 되어 재설치를 하고 시놀로지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는데...

 

헉..... SMB 연결이 안된다... 그냥 unknown operation error 만 나오고...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내부 주소 192.168.xxx.xxx 를 입력할 때 포트번호 (일반적인 SMB 포트번호는 445임)를 붙여보라는 것이 있어서

 

그대로 해보니 연결된다.

 

혹시 나와 비슷한 증상을 겪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반응형
반응형

어떤 주제를 가지고 설명하는 자료를 만들어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PPT를 활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당연하게, 그 설명자료는 적어도 보는 사람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준으로 이쁘게 만들어야 하는데 

 

문제는 그렇게 이쁘게 만드려면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

 

이런 문제에 있어 AI를 활용하여 내 부담을 줄여볼 수도 있을 것 같아 여기에 소개해 본다.

 

 

 

 

 

먼저 해당 AI 툴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다운로드 등은 필요없고,

대신에 인터넷 연결이 필수인데...  Gamma 의 웹페이지 주소는 아래와 같다.

 

https://gamma.app/?lng=ko

 

뭐,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알 수 있듯 구독료 결제를 유도하는데... 

무료 계정으로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아래와 같이 제한사항을 걸어두기 때문에

필요한 사람은 유료 회원 등록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